목차
머리말 좋은 글과 말은 삶을 풍요롭게 한다
국어의 정석 1 : 말을 알아야 말이 통한다
당신과 말이 안 통하는 진짜 이유
사람만 말을 갖고 있을까
‘님’과 ‘남’의 차이
우리말, 결코 쉽지 않다
무지개는 정말 빨주노초파남보일까



국어의 정석 2 : 문장, 넌 누구냐
문장은 사람의 생각을 표현한다
끝까지 들어 봐야 아는 우리말
‘얼굴이 예쁘다’와 ‘얼굴은 예쁘다’의 차이
화자의 뜻에 따라 문장이 달라진다
문장은 끝없이 길어질 수 있다
문법 맛보기
이 색깔은 하나 남으셨습니다?
때를 나타내는 방법
행복한 하루 되세요?
“손님이 다 안 왔다.”는 무슨 뜻일까

국어의 정석 3 : 단어만 잘 써도 교양이 쌓인다
단어를 쪼개 보자
단어 하나로도 말할 수 있을까
단어를 직접 만들어 보자
‘허’와 ‘수’ 이야기
해님과 햇님, 어떤 게 맞을까?
단어에도 성질이 있다
세월이 가면 품사도 변한다

국어의 정석 4 : 글맛, 말맛 살리는 어휘
단어와 어휘는 어떻게 다를까
생각, 사유, 사고, 사색의 차이
한 지붕 두 가족, 고유어와 한자어
사회가 변하면 외래어도 변한다
어휘력 키우기

국어의 정석 5 : 우리말의 품위 지키기
말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
말하기에도 표준이 있다
한글 맞춤법도 ‘법’이다
맞춤법과 문법은 다르다
말씨와 글씨가 곧 당신이다

국어의 정석 6 :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소리대로, 어법에 맞게
말소리를 어떻게 적을까
전통성과 합리성
‘쓸데없다’와 ‘쓸 데 있다’
모음조화도 변화한다
‘올바르다’일까, ‘옳바르다’일까
관습과 규범이 다를 때
문장 부호들의 역할

국어의 정석 7: 피할 수 없는 외래어와 로마자 표기
외래어와 외국어 어떻게 구분할까
스무 개 이상의 초콜릿
사격납저를 아시나요
어디에서 온 말인가
왜 리포트인가
공자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떨리는 Girl’ 이야기
박(Pak)세리와 박(Park)찬호

국어의 정석 8 : 글을 바르게 읽어야 세상이 보인다
읽기에 대한 편견을 버리자
읽기에는 전략이 필요하다
책, 너무 많이 읽지 마라
읽는 방법을 배우자

국어의 정석 9 : 좋은 글을 쓰는 방법
글쓰기 욕구는 본능이다
쓰기에 대한 인식부터 바꾸자
끊임없이 생각하며 글을 쓰자
선택과 집중을 잘하자
쓰기와 관련된 기술과 능력을 갖추자
쓰기, 이렇게 시작하자

맺음말 국어는 결코 어렵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