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초대

chapter 2 만남
1 해방을 위한 이론, 비판이론
2 인류는 왜 야만 상태에 빠졌는가 : 아도르노의 역사인식
3 계몽적 주체의 귀환 : 오디세이아
4 총체적으로 관리되는 사회 : 도구적 이성의 동일성 원리


5 대중 기만으로서의 계몽 :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
6 구원은 어디에 : 자율적 예술과 비동일성의 구제
7 벤야민,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을 논하다
8 영화, 대중운동의 정치적 도구가 되다

chapter 3 대화
문화산업론의 현재적 의미
chapter 4 이슈
영화의 프레임은 이미지로 채워지는 공간인가, 세계를 향한 창문인가?
대중문화는 지배 이뎅로로기의 매체인가, 저항과 투쟁의 장인가?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