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헌시ㆍ창해에 부는 바람
머리말ㆍ문화와 그 정체성
축사ㆍ歷史文化는 民族의 魂 / 여상규
축사ㆍ恨과 願이 서린 流配文學의 場 / 장봉호

화전별곡(花田別曲)
화전(花田, 남해)으로 유배가다


연산군과 갑자사화(甲子士禍)
진성대군을 왕으로 추대하다
진성대군(중종)의 암울한 시절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
삼포왜란(三浦倭亂)과 교역
기묘사화(己卯士禍)
향촌사회를 위한 향약(鄕約)
심문으로 공초(供招)받다
모해로 유감삼다
중종과 조광조의 만남 그리고 갈등
지나침은 모자라만 못했다
냉엄한 하명
조광조는 누구인가
조광조 선생 신도비
김구는 어떤 인물인가
영화로운 나날들
화전(남해) 향촌생활
남해에서 교유한 인물
향촌 유향품관인과 사귀다
화전별곡을 설(說)하다
풍류와 기생
망운산에 올라
화방사를 다녀오다
남해 노량
예산 종경리에 영면하다
남해에서 지은 경기체가
작품의 성격
자암 김구 선생 적려유허추모비
비문
조선 전기 사상의 흐름
조선 후기 사상의 흐름
조선 전기의 역사인식
조선 후기의 역사인식
중국형 서체와 한국형 서체 갈래
조선 전기 송설체의 정착
서예 양송풍(兩宋風)의 근간
촉체(蜀體)와 진체(晉體)
서체의 변천과 북학(北學)의 진흥
조선시대 역사
조선시대 문화재
남해의 12경
남해의 특산물
맺는 말

작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