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 4
해제 ‥ 19
조선 초기 국정 운영의 유력자, 이원(李原)의 《용헌집(容軒集)》|정재훈
연보 年譜 ‥ 33
용헌선생문집 서문 容軒先生文集序|정인지 ‥ 53

용헌집 제1권
시 詩


이격 선생의 시에 차운하다 次李先生 格 韻 ‥ 57
사천 도중 沙川道中 ‥ 58
광릉 현판의 시에 차운하다 次廣陵板上韻 ‥ 59
보흥사에서 즉흥으로 짓다 普興寺卽事 ‥ 60
이성군에게 보내다 寄利城君 ‥ 61
마전의 윤 소윤에게 보내다 寄麻田尹少尹 ‥ 62
등잔불의 심지를 돋우다 挑燈 ‥ 63
시출정의 시에 차운하다 次時出亭韻 ‥ 64
회암사에서 지신사 박석명에게 보내다 在檜巖寄朴知申事 錫命 ‥ 65
철원 동헌의 시에 차운하다 次鐵原東軒詩 ‥ 66
안협 安峽 ‥ 67
〈취원루〉 시에 차운하다 次聚遠樓詩 ‥ 68
강화의 시에 차운하다 次江華詩 ‥ 69
시중루에서 자야의 시에 차운하다 次侍中樓子野詩韻 ‥ 70
대동강의 배 안에서 大同江舟中 ‥ 72
판서 유겸의 시에 차운하다 次柳判書 謙 詩 ‥ 73
회포를 적어 이재에게 드리다 述懷呈?齋 ‥ 74
정주 현판의 시에 차운하다 次靜州板上韻 ‥ 75
망일사 望日寺 ‥ 76
대제학 이행이 헤어지며 남겨 준 시에 차운하다
次李大提學 行 留別詩 ‥ 77
개주의 누각 介州樓 ‥ 78
인왕사(仁王寺) 장로의 시에 차운하다 次仁王長老韻 ‥ 79
곡산 정 사군이 시를 보내와서 그 시에 차운하다
谷山鄭使君寄詩次其韻 ‥ 80
이재에게 받들어 드리다 奉呈?齋 ‥ 81
패수의 어부 김허주에게 주다 贈浿水漁人 金虛舟 ‥ 82
빗속에 춘정 변계량에게 보내다 雨中寄卞春亭 季良 ‥ 83
앞의 운자를 써서 짓다 用前韻 ‥ 84
영주 남원루에서 동방급제한 이실(李室)을 만나다
寧州南院樓遇李同年 室 ‥ 85
순창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淳昌樓詩 ‥ 86
경상도 함 사상에게 보내다 寄慶尙咸使相 ‥ 87
우 상인의 시에 차운하다 次愚上人詩 ‥ 88
김허주의 시에 차운하다 次金虛舟詩 ‥ 89
고 참의의 시권을 보다가 조 자를 얻어 짓다 閱高參議詩卷得朝字 ‥ 90
병술년 11월 20일 밤에 눈이 내리다 丙戌十一月二十日夜雪 ‥ 91
은거하며 즉흥으로 짓다 幽居卽事 ‥ 92
앞의 운자를 써서 춘정께 드리다 用前韻呈春亭 ‥ 93
백운산 염 상인에게 보내다 寄白雲山焰上人 ‥ 94
광릉 유 목사에게 보내다 寄廣陵柳牧使 ‥ 95
연꽃을 읊다 詠蓮 ‥ 96
목사 이안우에게 보내다 寄李牧使 安愚 ‥ 97
경상도 함 감사에게 보내다 寄慶尙咸監司 ‥ 98

용헌집 제2권
시 詩
급히 써서 영가군이 중원에 사신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다
走筆送永嘉君奉使中原 ‥ 101
옥천군이 남경(南京)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다 送玉川君赴京 ‥ 102
허형에게 시를 보냄에 벽 자의 운을 얻다 寄許衡得碧字 ‥ 103
설 판한성이 남경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다 送?判漢城赴京 ‥ 105
사가정의 시에 차운하다 4수 次四佳亭詩 四首 ‥ 106
차운하여 박 함풍이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다 次韻送朴咸?之任 ‥ 107
한 소윤의 시에 차운하다 次韓少尹詩 ‥ 108
고인의 〈욕귀〉 시에 차운하다 次古人欲歸詩韻 ‥ 109
학문을 권하다 勸學 ‥ 110
김 교수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金敎授詩 二首 ‥ 111
진관사의 욕실에 짓다 題眞觀社浴室 ‥ 112
이언 촌가에서 즉흥으로 짓다 2수 伊?村家卽事 二首 ‥ 114
상주의 새로 지은 누각 병인 尙州新樓 幷引 ‥ 115
성주 동헌의 시에 차운하다 次星州東軒詩 ‥ 117
〈연자루〉 시에 차운하다 2수 次燕子樓詩 二首 ‥ 118
영가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永嘉樓詩 ‥ 119
〈양양곡〉에 차운하다 次襄陽曲 ‥ 120
보주 현판의 시에 차운하다 次甫州板上韻 ‥ 121
여흥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驪興樓詩 二首 ‥ 122
용궁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龍宮樓詩 ‥ 123
함창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咸昌樓詩 ‥ 124
강원도 윤 사상에게 보내다 寄江原尹使相 ‥ 125
청도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淸道樓詩 ‥ 126
삼정을 전송하다 送杉庭 ‥ 127
동래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東萊詩 二首 ‥ 128
선주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善州樓詩 ‥ 129
언양 동헌에 짓다 題?陽東軒 ‥ 130
안 사간에게 장난 삼아 보내다 ?贈安司諫 ‥ 131
쌍매당의 〈월영대〉 시에 차운하다 次雙梅堂月影臺詩 ‥ 132
고성의 시에 차운하다 次固城詩 ‥ 133
은사(恩師) 도은 선생을 곡하다 哭恩門陶隱先生 ‥ 134
진 전농께 드리다 呈秦典農 ‥ 135
개령의 문루에 짓다 題開寧門樓 ‥ 136
양주의 시에 차운하다 次梁州詩 ‥ 137
금강사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金剛舍詩 二首 ‥ 138
울주 〈태화루〉 시에 차운하다 次蔚州太和樓詩 ‥ 139
평원각 平遠閣 ‥ 140
백련사 白蓮社 ‥ 141
벽파정 碧波亭 ‥ 142
은월봉 隱月峯 ‥ 143
망해대 望海臺 ‥ 144
호정이 헤어질 때 남긴 시에 차운하다 次浩亭留別詩 ‥ 145
계림 동헌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鷄林東軒詩 二首 ‥ 146
송생의 시에 차운하다 次松生韻 ‥ 147
광산 김 동년에게 보내다 2수 寄光山金同年 二首 ‥ 148
풍해도(?海道)의 함 사상에게 보내다 寄?海咸使相 ‥ 149
서도의 박 사상에게 보내다 寄西都朴使相 ‥ 150
김산의 시에 차운하다 次金山詩 ‥ 151
황간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黃澗樓詩 ‥ 152
김 교수에게 보내다 寄金敎授 ‥ 153
순흥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順興樓詩 ‥ 154
현풍에서 창녕으로 가다가 눈 속에서 김 직강의 시에 차운하다 2수
自玄風往昌寧雪中次金直講詩 二首 ‥ 155
초계 감정루의 시에 차운하다 次草溪鑑政樓詩 ‥ 156
창녕의 구암 사영에 차운하다 次昌寧龜庵四詠 ‥ 157
박송계의 시에 차운하다 次朴松溪詩 ‥ 158
기축년 설날에 옛사람의 시에 차운하여 안 사간에게 주다
己丑歲日與安司諫次古人詩 ‥ 159
영가군의 〈모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永嘉君暮春詩 二首 ‥ 160
윤개의 아내에 대한 만사 尹愷妻氏輓詞 ‥ 161
유 부령의 시골집에서 우연히 읊다 劉副令村舍偶吟 ‥ 162
민 집의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閔執義詩 二首 ‥ 163
박생의 시에 차운하다 次朴生詩 ‥ 164
산인 배충의 시에 차운하다 5수 次裵山人 衷 詩 五首 ‥ 165
박 목사가 공주로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다 送朴牧使之任公州 ‥ 167
정 사간을 축하하다 賀鄭司諫 ‥ 168
급히 시를 지어 앙암의 최 동년에게 보내고 겸하여 법천사(法泉寺) 규 상인
에게 드리다 走筆寄仰巖崔同年兼呈法泉珪上人 ‥ 169
독곡이 김해 김공을 전별할 때 지은 시에 차운하다
次獨谷餞金海金公詩 ‥ 170
이 참판이 복숭아를 보내와서 사례하다 謝李參判送桃 ‥ 171
허백정의 〈영매〉 시에 차운하다 2수 次許栢亭詠梅 二首 ‥ 172
권일민의 〈송매죽분〉 시에 차운하다 3수 次權逸民送梅竹盆詩 三首 ‥ 173
한가롭게 살며 즉흥으로 쓰다 2수 閒居卽事 二首 ‥ 174
변 선달에게 드리다 呈卞先達 ‥ 175
느낌이 있어 변 주서에게 드리다 有感呈卞注書 ‥ 176
가을밤 벗에게 보내다 秋夜寄友人 ‥ 177
해당화 海棠 ‥ 178
벗에게 보내다 寄友人 ‥ 179
봄날에 백정을 방문하다 春日訪栢亭 ‥ 180
누각에 오르다 2수 登樓 二首 ‥ 181
개성사에서 자다 宿開聖寺 ‥ 182
관음사에서 자다 宿觀音寺 ‥ 183
허 상인에게 보내다 贈虛上人 ‥ 184
여름날에 벗을 그리워하다 夏日懷友人 ‥ 185
스님을 찾아가다 尋僧 ‥ 186
산을 유람하다 遊山 ‥ 187
한가한 가운데 閒中 ‥ 188
등불 앞에서 빗소리를 듣다 燈前聽雨 ‥ 189
조카에게 보내다 寄姪 ‥ 190
순주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順州樓詩 ‥ 191
성주 서루의 시에 차운하다 次成州西樓詩 ‥ 192
호정 선생의 시에 차운하여 변 사예에게 보내다
次浩亭先生韻寄卞司藝 ‥ 193
동북계 감사에게 드리다 奉呈東北界監司 ‥ 194
영녕 동헌의 시에 차운하다 次永寧東軒詩 ‥ 195
용주의 시에 차운하여 벗에게 보내다 次龍州詩韻寄友人 ‥ 196
병조 정랑인 두 동년 이실과 이감의 시에 차운하다
次兵曹正郞李兩同年 李室李敢 詩 ‥ 197
패수 어부의 시에 차운하다 次浿水漁人韻 ‥ 198
노란 국화 2수 黃菊 二首 ‥ 199
허주의 시권 시에 차운하다 次虛舟卷韻 ‥ 200
어제 연구 御製聯句 ‥ 201
이 소감의 시에 차운하다 次李少監詩 ‥ 202
대동관을 낙성하다 3수 大同館落成 三首 ‥ 203
입춘에 허주의 시에 차운하다 2수 立春次虛舟韻 二首 ‥ 204
춘정을 방문하였으나 만나지 못하다 訪春亭不遇 ‥ 205
허해에게 보내고 겸하여 광주 목사 유겸에게 드리다
寄呈許敬差官 該 兼呈廣州柳牧使 謙 ‥ 209
시로 염사의 편지에 답하다 以詩答焰師書 ‥ 210
허공이 공주에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다 2수 送許公之任公州 二首 ‥ 211
벗의 시에 차운하다 次友人韻 ‥ 212
이 고성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李古城詩 二首 ‥ 213
춘정의 시에 차운하다 次春亭韻 ‥ 214
권 관찰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權觀察使詩 ‥ 215
승가사에서 공어촌의 시에 차운하다 僧伽寺次孔漁村詩 ‥ 216
일본 승려의 송천유처 시권에 짓다 題日本僧松泉幽處卷中 ‥ 217
태종대왕에 대한 만장 太宗大王輓章 ‥ 218
보흥사에 짓다 題普興寺 ‥ 219
충청도 함 사상에게 보내다 寄忠淸咸使相 ‥ 220
마전 동헌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麻田東軒詩 二首 ‥ 221
임진정의 시에 차운하다 次臨津亭詩 ‥ 222
회암사 골짜기에서 지신사에게 드리다 2수
在檜巖寺洞裏呈知申事 二首 ‥ 223
양천정에 걸린 시에 차운하다 次陽川亭上詩 ‥ 224
만의가 부채를 보내 주어 사례하다 謝萬義贈扇 ‥ 225
장 의랑을 초청하다 招張儀郞 ‥ 226
장 의랑의 시에 차운하다 次張儀郞詩 ‥ 227
연정에 있으면서 윤 교수를 초청하다 在蓮亭招尹敎授 ‥ 228
헌납 김섭에게 주다 贈金獻納 涉 ‥ 229
안산 동헌의 시에 차운하다 次安山東軒詩 ‥ 230
일운 상인에게 보내다 寄一雲上人 ‥ 231
안동 욕실에 짓다 題安東浴室 ‥ 232
영호루에 짓다 보유 題映湖樓 補遺 ‥ 233
영락 연간 永樂年 ‥ 234
양주 동헌의 시에 차운하다 次楊州東軒詩 ‥ 235
우연히 읊다 偶吟 ‥ 236
밤에 술을 마시다가 자리의 여러 공에게 드리다 夜飮呈座上諸公 ‥ 237
고인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古人韻 二首 ‥ 238
연산부 현판의 시에 차운하다 次延山府板上韻 ‥ 239
합천 징심루의 시에 차운하다 次陜川澄心樓詩 ‥ 240
회원루의 시에 차운하다 次會元樓詩 ‥ 241
영남루의 시에 차운하다 次嶺南樓詩 ‥ 242
영주 동헌의 은문 정 시중의 시에 차운하다 次榮州東軒恩門鄭侍中詩 ‥ 243
김 헌납의 시에 차운하다 次金獻納詩 ‥ 244
변춘정의 시에 차운하다 次卞春亭詩 ‥ 245
집의 민설에게 주다 贈閔執義 渫 ‥ 246
영산 누각의 시에 차운하다 次靈山樓詩 ‥ 247
영덕 성루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盈德城樓詩 二首 ‥ 248
춘정이 영암에 지은 시에 차운하다 次春亭題嶺庵詩 ‥ 249
김대경이 상산에 부임하고 겸하여 박 강양에게 보내는 시에 차운하다 2수
次金大卿之任商山兼寄朴江陽 二首 ‥ 250
명정암의 시에 차운하다 次明正庵詩 ‥ 251
다시 명정암의 시에 차운하다 2수 又次明正庵詩 二首 ‥ 252
권일민이 복숭아를 보내 주어 사례하다 謝權逸民惠桃 ‥ 254
인왕사 장로의 시권에 짓다 題仁王長老詩卷 ‥ 255
보흥사에 있으면서 명나라 사신이 서울에 들어왔다는 소식을 듣다
在普興寺聞天使入京 ‥ 256
태화루의 시에 차운하다 次太和樓詩 ‥ 257
처인의 시에 차운하다 次處仁詩 ‥ 258
영락 정해년에 어가(御駕)가 여흥부 민제의 집에 거둥하여 후비로 하여금
연에 오도록 하고 가인의 예를 강하였다. 부원군과 대부인이 모두 오래 살고
강녕하며 영광스러운 봉양을 받았기 때문에 영의정 독곡 성공과 함께 시를
지어 하례하였다 보유 永樂丁亥駕幸驪興府閔霽第許令后妃輦至講家人之禮
府院君大夫人俱壽考康寧以承榮養與領議政獨谷成公賦詩以賀 補遺 ‥ 259
참정 탁광무에 대한 만시 이하는 습유이다. 輓卓參政 光茂○以下拾遺 ‥ 260
장단 영통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長湍靈通寺韻 ‥ 261

용헌집 제3권
소 疏
열 가지 조항을 올리는 소 임신년 上十條疏 壬申 ‥ 265
행행할 때의 호종에 예를 갖출 것을 청하는 소 임신년
請幸行時扈從備禮疏 壬申 ‥ 275
노비 속공을 청하는 소 임신년 請奴婢屬公疏 壬申 ‥ 277
열한 가지 조항을 올리는 소 임신년 上十一條疏 壬申 ‥ 280
엄환 조순을 버려 둘 것을 청하는 소 무인년 請廢置奄宦曺恂疏 戊寅 ‥ 288
의장을 정할 것을 청하는 소 무인년 請定衣章疏 戊寅 ‥ 289
조순을 참형에 처할 것을 청하는 소 무인년 請斬曺恂疏 戊寅 ‥ 290
검교를 혁파할 것을 청하는 소 신사년 請罷檢校疏 辛巳 ‥ 291
동궁을 세우고 사부를 둘 것을 청하는 소 신사년
請立東宮置師傅疏 辛巳 ‥ 292
노비 쟁송을 금할 것을 청하는 소 신사년 請禁奴婢爭訟疏 辛巳 ‥ 294
곡산군 연사종을 정표할 것을 청하는 소 갑오년
請谷山君延嗣宗旌表疏 甲午 ‥ 296
이숙번에게 죄줄 것을 청하는 소 병신년 請罪李叔蕃疏 丙申 ‥ 297
사사 노비를 혁파할 것을 청하는 소 기해년 請罷寺社奴婢疏 己亥 ‥ 298
장담의 직첩?녹권과 토전?노비를 거둘 것을 청하는 소 임인년
請收張湛職牒錄券及土田奴婢疏 壬寅 ‥ 300
권희달 등에게 죄줄 것을 청하는 소 갑진년 請罪權希達等疏 甲辰 ‥ 301
가뭄 때문에 사직하는 소 을사년 因旱辭職疏 乙巳 ‥ 303
좌사와 우사를 둘 것을 청하는 소 을사년 請置左右史疏 乙巳 ‥ 304

계 啓
외척과의 혼인을 금할 것을 청하는 계 을미년 請禁外戚婚姻啓 乙未 ‥ 305
시종을 줄이고 강무를 잠시 행할 것을 청하는 계 병신년
請減侍從暫行講武啓 丙申 ‥ 306
왜 종정무를 대비할 것을 청하는 계 정유년 請備倭宗貞茂啓 丁酉 ‥ 308
군무 사의를 아뢰는 계 무술년 軍務事宜啓 戊戌 ‥ 309
대마도 정벌을 그만둘 것을 청하는 계 기해년 請停征對馬島啓 己亥 ‥ 311
태상왕에게 휘호를 올릴 것을 청하는 계 신축년
請上太上王徽號啓 辛丑 ‥ 312
보리 종자를 나누어 줄 것을 청하는 계 임인년 請分給麥種啓 壬寅 ‥ 315
졸곡 후에 육선을 올릴 것을 청하는 계 임인년 請卒哭後進肉膳啓 壬寅 ‥ 316
재계 임인년 再啓 壬寅 ‥ 317
양녕대군을 청주에 둘 것을 청하는 계 계묘년
請置讓寧大君淸州啓 癸卯 ‥ 318
양녕대군을 이천에 옮겨 두지 말 것을 청하는 계 갑진년
請勿移置讓寧大君利川啓 甲辰 ‥ 319
재계 갑진년 再啓 甲辰 ‥ 320
사사 토전을 나누어 소속시킬 것을 청하는 계 갑진년
請寺社土田分屬啓 甲辰 ‥ 321

전 箋
태상왕에게 휘호를 올린 것을 경하하는 전 신축년
上太上王徽號賀箋 辛丑 ‥ 322
주상 전하에게 경하를 올리는 전 上主上殿下賀箋 ‥ 324

헌의 獻議
강원도에 조전 첨절제사를 두는 일에 대한 의 정유년
江原道置助戰僉節使議 丁酉 ‥ 326
죄를 범했지만 사면받은 후에는 과전을 환급하는 일에 대한 의 무술년
犯罪蒙宥後科田還給議 戊戌 ‥ 327
기거를 삼가 문안하는 일에 대한 의 임인년 欽問起居事議 壬寅 ‥ 328
국장 발인할 때에 기로와 생도의 봉사에 관한 의 임인년
國葬發靷時耆老生徒奉辭議 壬寅 ‥ 329
경원과 경성의 방위 및 축성에 대한 의 병오년
慶源鏡城防衛及築城議 丙午 ‥ 330

용헌집 제4권
증유 贈遺
관찰사에게 주다 贈觀察使 ‥ 333
서경 사상이 찻그릇을 선물했기에 시로 보답하다 6수
西京使相惠石?以詩答之 六首 ‥ 334
철성군(鐵城君)이 우상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서 부를 짓다
聞鐵城作右相喜而賦之 ‥ 336
식파정기 息波亭記 ‥ 337
작별할 때 지어 준 시에 대한 서문 贈行詩序 ‥ 339
척록 ?錄
《도학연원록》 道學淵源錄 ‥ 342
《대동운옥》 大東韻玉 ‥ 343
가전세록 家傳世錄 ‥ 344
부록 附錄
신도비명 神道碑銘 ‥ 345
신도비음기 神道碑陰記 ‥ 357
화상찬 ?像贊 ‥ 359
《해동명신언행록》 海東名臣言行錄 ‥ 360
청도의 명계서원 봉안문 淸道明溪書院奉安文 ‥ 363
상향축문 常享祝文 ‥ 365
명계서원에 이봉할 때의 고유문 明溪書院移奉時告由文 ‥ 366
안동의 반구정에 임시로 봉안할 때의 고유문 安東伴鷗亭權奉告由文 ‥ 369
명호서원 봉안문 明湖書院奉安文 ‥ 372
명계서원 상량문 明溪書院上樑文 ‥ 375
명호서원 강당 상량문 明湖書院講堂上樑文 ‥ 379
용헌선생문집 후서 容軒先生文集後敍|권상규 ‥ 387
용헌선생문집 발문 容軒先生文集跋|이중구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