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3

해제Ⅰ-이여성론 <조선복식고>를 중심으로= 5
1. 서언
1)이여성의 생애
2)<조선복식고>의 저술 배경
2. 연구방법과 자료
3. 구성과 내용
4. <조선복식고>의 가치
5. <조선복식고>의 문제점
6. 결언
7. 부록 : 인물화가 있는 16개의 벽화고분일람 내용
8. 이여성 연보
9. 이여성 저작 목록

해제Ⅱ-한국 복식사 연구의 출발점 = 31
1. 머리말
2. 이여성의 약력
3. <조선복식고>의 문제의식과 내용
1)문제이식
2)내용
4. <조선복식고>의 연구사적 위치
5. 맺는 말

〔영인본〕

凡例
圖版
目次
第一章 緖論
第一節 硏究方法과 資料 = 33
第二節 上代朝鮮族의 構成 = 53
第三節 上代朝鮮의 他族과의 關係 = 78
第四節 上代社會와 服飾 = 89
第二章 上代服飾의 基本型 = 121
第一節 短衣(저고리) = 122
第二節 袴(바지) = 127
第三節 袍(두루막) = 132
第四節 裳(치마) = 135
第五節 帶(띄) = 137
第六節 冠帽 = 140
第七節 履類(신) = 147
第八節 襈 = 155
第三章 上代服飾의 諸冠帽
第一節 幘 = 165
第二節 鳥羽冠 = 171
第三節 折風 = 178
第四折 笠(蔽陽笠, 方笠) = 200
第五折 金冠 = 209
第四章 上代服飾의 諸修飾
第一節 耳飾 = 227
第二節 銙帶와 腰佩 = 244
第三節 飾玉 = 256
第四節 玉虫飾 = 265
第五節 髻 = 273
第五章 上代의 織物과 染釆
第一節 布帛 = 291
第二節 染釆 = 303
第六章 上代服飾의 服飾文化史的地位(結論) = 325

附錄 :人物畵있는 主要壁畵古墳一覽 = 353
索引 =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