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조선후기 대일통신사행의 문화사적 의의 _하우봉
병자통신사의 눈에 비친 일본 사회
- 김세렴의 <해사록>을 중심으로 _서동일
조선통신사 필담창화집의 일본 출판 _허경진·박혜민
18세기 후반 일본에서의『좌간필어』간행의 의미 _허경진·장진엽
『장문계갑문사(長門癸甲問사)』를 통해 본 한일 문사의 사상적 차이 _허경진·박순
유복(儒服)과 유자 의식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경우 _허은주
1763년 계미 통신사 원중거의 일본 인식 _김정신
12차 통신사 필담집의 특징
-「對槽餘藻」의 주자학 담론을 중심으로 _구영진
후쿠오카번(福岡藻)과 통신사 _다카하시 마사히코
부岡藩と通信使 _高橋昌彦
조선 의원의 일본 사행과 의학필담집의 출판 양상 _허경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