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마음
궁궐의 개, 사도세자의 개_정병설
궁궐에서는 어떤 개를 길렀을까?

친구와 그림_안대회
19세기 사대부가 그린 황량한 풍경의 사연

이인상과 그의 서화 속 ‘심회心會’_유승민
글씨와 그림의 경계를 넘어 전해지는 힐링 메시지

단원檀園의 풍경을 찾아서_김동준
문인들의 흥취가 배어 있는 서해 언덕의 시원스러운 숲

옛 그림 속 어머니와 아이_정우봉
한없는 자애로움과 끝없는 그리움의 대상

마음을 그리다_함영대
마음을 다스리면서 몸을 다스린 유학자들

제2부 감각
그림 속 미각味覺_고연희
맛의 감각으로 보는 옛 그림

〈소년전홍少年剪紅〉의 백일홍과 괴석_이종묵
벌열가 후원의 조경을 화폭에 담은 신윤복의 그림

파초가 있는 풍경_강혜선
옛 그림의 시와 그림 속에서 만나는 파초

파초의 노래_김종서
시원스러운 푸른 잎에 떨어지는 빗소리

유덕장의 그림에 빠진 남인南人들_박동욱
평생 동안 걸작을 완성한 조선의 3대 묵죽화가

삶의 품격을 생각하게 하는 꽃, 국화_김종태
고매한 선비들을 매료시킨 결곡한 자태의 꽃

제3부 사연
〈문희별자도〉를 보는
조선후기 문사들의 시각_유미나
오랑캐의 포로, 그리고 실절失節

취선醉仙 이백을 그리다_유순영
술과 달, 방랑의 천재 시인

소옹邵雍과 그의 고사도_송희경
옛 성현의 삶과 행적이 공존하는 그림

심사정과 김홍도의 걸작을 소장한
어느 역관譯官_이경화
이민식이 〈와룡암소집도〉, 〈서원아집도〉와 《신선도》 병풍 그림을 소장하기까지

혼동된 화가, 김석신과 이수민_진준현
‘초원蕉園’이라는 같은 호를 사용한 두 화원畵圓

소설의 안팎, 그림을 향유하는
조선의 여인들_서정민
그들은 왜 그림을 통해 삶을 기록하려 했을까?

말이 끝나는 곳에서 그림은 시작된다_장진성
이인상의 서얼화庶孼畵

초상화찬, 옛 문인들의 문학적 초상_김기완
초상화에 덧붙인 자의식의 표현, 어떻게 발전했을까?

제4부 표상
한반도 호랑이 지도론_정민
한반도 지도 안을 어떤 형상으로 채울 것인가

한국 봉황 표장標章의 기원과 정치학_김수진
창덕궁 인정전 〈봉황도〉에서 청와대 봉황 표장까지

정조의 〈환어행렬도還御行列圖〉_유재빈
사실과, 편집된 기억의 사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황제 즉위식 광경_이정희
우리나라 마지막 황제의 즉위식을 엿보다

고종황제의 역사 만들기, 조경단肇慶壇_김문식
조선의 뿌리를 찾아서

불멸의 초상, 어진御眞_윤진영
화염 속으로 사라진, 그리고 잊힌 왕의 초상화

제5부 소통
고려의 영원한 초상, 운학문 청자_장남원
날렵하고 매끄러운 도자기 위 비췻빛 하늘을 나는 학

조선후기 문화의 창, 북경 유리창_이홍식
새로운 세계가 황홀경처럼 펼쳐지는 곳

옛 일본소설 속의 조선 풍속화_김시덕
조선을 조선답게 그리려 한 한 화가의 열망

돈은 돌아야 돈이다_윤주필
돈 이야기로 읽는 그림

〈안약산〉과 〈우이로오우리〉_이창숙
약장수와 눈알, 사람의 눈을 그린 두 그림의 관계는?

‘조선 통신사’를 통해 본
일본과의 문화 교류_송지원
조선 통신사, 새로운 문화 동력이 되다

찾아보기
그림·사진 작품
인명·지명·문헌명·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