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정 증보판을 내면서

Ⅰ. 한국어 교육의 현황
제1장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1.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3. 한국어 교사의 자질 및 역할
4. 한국어 교재의 현황 및 과제
5. 한국어 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제2장 북한의 한국어 교육 연구
1. 머리말
2. 한국어 교재 󰡔조선어󰡕의 분석
3. 요약 및 앞으로의 과제


Ⅱ. 한국어 교육의 제 문제
제3장 기록과 관찰을 통한 한국어 교수법 개선 방안 연구
1. 머리말
2. 교육 관찰 연구의 이론적 기초
3. 일본 관동국제고등학교에서의 수업 관찰 사례
4. 수업 관찰 기록의 요소
5. 맺음말

제4장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 어미 오류 양상에 관한 연구
1. 머리말
2. 연구 대상
3. 언어권별 오류 유형
4. 언어권별 연결 어미 오류 양상
5. 맺음말

제5장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1. 머리말
2. 읽기 교육 이론
3. 읽기의 특징과 읽기 교육의 유의점
4. 읽기 지도 방법
5. 읽기 자료의 선정
6.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요구
7. 읽기 교육의 절차
8. 읽기 수업 구성의 실제
9. 정보화 시대의 읽기 교육
10. 읽기 평가

제6장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태어 교육 방법 연구
1. 머리말
2.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의태어 설문 분석
3.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태어 사용 현황
4. 한국어 교육용 의태어 목록 선정
5. 의태어 교육 방법
6. 맺음말

제7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 연구
1. 머리말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4. 한자 교육의 범위
5. 맺음말


제8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의 현황 및 과제
1. 머리말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에 대한 인식
3. 문화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4. 문화 교육 연구에 대한 제언
5. 맺음말

제9장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 발전 과정과 과제
1. 들어가기
2. 선행 연구 및 중국에서의 한국학의 정체성
3. 중국에서의 한국학 발전 과정
4. 한국학 연구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몇 가지 특징과 방향성
5. 맺는 말

제10장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1. 서론
2.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 연구 현황
3.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제언
4. 결론


제11장 CIS 지역 재외동포 대상 한국 문화 교육 항목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문화 교육 현황
4. CIS 지역 재외동포의 한국 문화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5. 결론

Ⅲ. 한국어 교육의 미래
제12장 한국어 교육학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1. 머리말
2. 한국어 교육 연구 현황
3.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위상에 관한 앞선 논의
4.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발전 방향
5. 맺음말



제13장 한국어 교사론
1. 한국어 교사의 요건
2. 바람직한 한국어 교사상
3. 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태도
4. 결론

제14장 세종학당 성공을 위한 조건과 과제
1. 한국어 해외 진출 현황
2. 한국어 해외 진출의 문제점
3. 정책 제언

부록 한국어 교육 관련 논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