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합성형 보조용언
1. 문제의 제기
2. 합성형 보조용언과 그 의미 기능 및 의미관련 특징
2.1. 합성형 보조용언
2.2. ‘앉아 있다’, ‘자빠져 있다’의 의미 기능 및 이 구문의 의미관련 특징
3. 보조용언 ‘앉아 있다’, ‘자빠져 있다’의 형성
4. 결론

2장 보조용언 ‘빠지다’, ‘터지다’, ‘제끼다’
1. 문제의 제기
2. 보조용언 ‘빠지다’, ‘터지다’, ‘제끼다’의 통사 현상, 문법화, 의미 기능
2.1. 보조용언의 확립
2.2. 각 보조용언들의 통사 현상, 문법화, 의미 기능
3. 결론

3장 ‘-아 있다’ 구문의 통합 제약 현상에 대하여
1. 서론
2. ‘-아 있다’ 구문의 상적 특성과 제약
2.1. 기왕 논의의 비판적 검토
2.2. ‘-아 있다’ 구문의 타동사 제약 현상
3. ‘V1-아 있다’ 구문의 V1 제약 조건
3.1. V1의 상적 특성에 따른 제약
3.2. 통사적 제약
4. 결론

4장 ‘-어 오다/가다’의 직시적 의미와 상적 특징
1. 서론
2. ‘오다/가다’의 직시적 성격과 용언 통합 제약
2.1. ‘오다/가다’의 직시적 성격
2.2. ‘오/가다’의 내포적 의미와 용언의 통합 제약
3. ‘오다/가다’의 상적 기능과 직시적 특징
3.1. ‘오다/가다’의 상적 기능
3.2. 보조동사 ‘오/가다’의 직시적 특징과 관점
4. 선행 술어와 ‘오다/가다’의 상적 기능 및 특징
4.1. 동사+오다
4.2. 동사+가다
4.3. 형용사+오다
4.4. 형용사+가다
4.5. 있다/이다+오/가다
5. 화자의 관점과 상
6. 결론

5장 보조용언의 완료 기능설에 대한 재고
1. 문제의 제기
2. 보조용언의 완료상 주장 항목과 근거 검토
2.1. 완료상의 항목 검토
2.2. 완료상의 근거 검토
3. 완료상의 개념과 조건 및 특징
3.1. 완료상의 개념
3.2. 완료상의 조건 및 특징
4. 완료상에 대한 부정적 증거와 보조용언의 의미 기능
4.1. 보조용언의 완료상에 대한 부정적 증거
4.2. 보조용언의 양태적 기능
5. 결론

6장 접속형태 ‘보았자’의 구조와 의미
1. 문제의 제기
2. ‘보았자’의 구조와 의미 기능
2.1. ‘보았자’의 형태, 통사적 특징과 의미 기능
2.2. ‘보았자’의 구조
2.3. 융합 형태 ‘보았자’의 의미 기능 확대와 통사 현상
3. 결 론

7장 어미 ‘-어’의 성격과 기능
1. 서론
2. ‘-어’의 내재적 속성과 부차적 기능
2.1. ‘-어’의 다양한 용법 및 ‘-어’의 기능에 대한 이전의 논의
2.2. ‘-어’의 내재적 기능과 부차적 기능
3. 결론

8장 국어 진행상의 형식과 특징
1. 서론
2. 국어 진행상의 형식과 특징
2.1. 국어 진행상의 유형과 특징
2.2. ‘-고 있다’와 ‘-는 중이다’의 차이
2.3. 두 진행상 형식의 문법화와 특징
2.4. 두 진행상 형식의 차이에 대한 설명
3.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