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고전문학의 흐름
제1장. 한국 고전문학의 흐름

제2부 고전비평의 이모저모
제1장. 한국 문학비평의 형성시기와 과정
제2장. 허균과 조선 중기 시학
제3장.『지봉유설』의 한문학적 업적
제4장. 한문 사대가의 문학이론
제5장. 다산 정약용의 문학이론

제3부 고전시가의 이모저모
제1장. 가사의 기권과 형성시기
제2장. 이규보「동명왕편」의 구조와 내용
제3장. 한국 고전시론의로 본「성상탄」
제4장. 한국 고전시론으로 본 노계 박인로의 시가
제5장. 한국 고전시론으로 본 상촌 신흠의 시조

제4부 고전산문의 이모저모
제1장. ''소설''이란 용어의 개념에 대하여
제2장.「배비장전」과 그 근원설화
제3장.『청구야담』의 특직와 문학사적 의의
제4장.『동야휘집』의 이본과 야담사적 가치
제5장.『징비록』에 대한 문학적 고찰

제5부 구비문학의 이모저모
제1장. 강원지역 인물설화의 전승 양상
제2장. 강원 영동ㆍ영서 인물설화 비교
제3장. 역사기록과 구전설화로 본 궁예
제4장. 강감찬 설화의 의미
제5장. 문헌기록과 구전설화로 본 목민관 허목
제6장. 임꺽정 이야기의 전승 양상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