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Ⅰ. 서론
1. 연구목적과 대상
2. 연구사와 연구과제

Ⅱ. 근대계몽기 서사문학의 성격과 신작 고소설의 현실대응적 성격

Ⅲ. 근대계몽기 고소설의 현실대응양상과 그 역사적 의미
1절. 근대적 국가상의 모색과 그 소설적 형상
1. 근대적 국가 건설의 낙관적 전망 : [정씨복선록]
2. 비주체적 개화정책의 비판과 근대적 국가상의 모색 :[산촌미녀]
2절. 정체성의 혼란과 그 소설적 형상
1. 물질주의적 세태의 경계와 전통적 윤리의식의 긍정적 재인식 :[적선여경록],[靑樓義女傅]
2, 성적 방종의 경계와 전통적 윤리의식의 긍정적 재인식 :[新斷公案]
3절. 전근대적 의식 및 제도의 청산과 그 소설적 형상
1. 중세체제에 대한 비타협적 단절의식 :[김봉본전]
2. 전근대적 신분질서 및 전통적 지식인의 비근대성의 반성적 인식 :[어복손전]
4절. 민족적 위기의식과 그 소설적 형상
1. 민족자주권의 수호와 항일의식의 고취 :[호섬전]
2. 민족적 위기의식의 원인 분석과 그 해결책의 모색 :[몽견제갈량]
3. 민족적 위기의 절망적 인식과 구국의지의 고취 :[지구성미래몽]

Ⅳ. 근대계몽기 신작 고소설의 성격
1. 신작 고소설 작가층의 성격과 현실인식의 특질
2. 근대계몽기 신작 고소설의 양식 특질

Ⅴ. 결론

[자료편]
1.[정씨복선록]
2.[적선여경록]
3.[청루의녀전]
4.[보응]
5.[호섬전]
6.[지구성미래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