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찬초등소학 하

신찬초등소학 권4

제1과 면과 씨아와 물레
제2과 민물조개와 도요새의 서로 다툼
제3과 아이의 도리
제4과 7요일
제5과 새(鳥)됨을 원하는 문답
제6과 개국기원절(開國紀元節)
제7과 학문을 부지런히 함
제8과 영조조(英祖朝)께서 요[褥]를 되돌려 준 일
제9과 서책(書冊)을 빌림
제10과 서책을 빌리는 서찰
제11과 돼지[豕]
제12과 이시백이 꽃을 바치지 아니한 일
제13과 저울[秤]
제14과 무역
제15과 호랑이와 여우의 대화
제16과 소용돌이 물[渦水]
제17과 달팽이[蝸]
제18과 게으른 사람[懶惰] 1
제19과 게으른 사람[懶惰] 2
제20과 개가 도적을 잡다
제21과 워싱턴[華盛頓]
제22과 건원절(乾元節)
제23과 기차와 정차장(停車場)
제24과 삼십도(三十道)
제25과 배
제26과 군함
제27과 사마광(司馬光)
제28과 고대조선(古代朝鮮)
제29과 국화
제30과 일 년의 월일(月日)
제31과 공업
제32과 기러기
제33과 천연계(天然界)의 이용
제34과 비둘기
제35과 경찰(警察)
제36과 지구
제37과 삼한(三韓)
제38과 금(金)을 사양한 일


신찬초등소학 권5

제1과 신라, 고구려, 백제 삼국의 기원
제2과 고양이
제3과 새우와 게
제4과 구항(九港)과 삼시(三市)
제5과 눈
제6과 기후
제7과 대나무[竹]
제8과 공자(孔子)
제9과 맹자(孟子)
제10과 술과 담배[酒와 煙草]
제11과 충직하고 성실한 개[忠實한 犬]
제12과 통상(通商)
제13과 유교(儒敎)
제14과 불교
제15과 금강산(金剛山)
제16과 을지문덕(乙支文德)
제17과 공기
제18과 삼국(三國)의 쇠망(衰亡) 1
제19과 삼국(三國)의 쇠망(衰亡) 2
제20과 금속(金屬)
제21과 양만춘(楊萬春)
제22과 공원
제23과 석탄과 석유
제24과 서희(徐熙) 1
제25과 서희(徐熙) 2
제26과 몬데스규의 음덕(陰德) 1
제27과 몬데스규의 음덕(陰德) 2
제28과 우리들의 세계
제29과 동서양의 여러 나라[東西洋諸國] 1
제30과 동서양의 여러 나라[東西洋諸國] 2
제31과 거미[?蛛]의 거미줄[經綸]
제32과 물의 변화 1: 얼음, 수증기, 구름, 안개, 비
제33과 물의 변화 2: 우레, 싸라기눈, 눈, 이슬, 서리
제34과 말을 드리고 오이를 얻음
제35과 인삼
제36과 강감찬(姜邯贊)
제37과 세계의 인종
제38과 다섯 기후대[五帶]의 춥고 따뜻함[寒暖]과 생물 1
제39과 다섯 기후대[五帶]의 춥고 따뜻함[寒暖]과 생물 2
제40과 수목(樹木)의 이익

신찬초등소학 권6

제1과 기구(氣球)
제2과 문학의 진보와 쇠퇴
제3과 신체의 얼개[結構]와 골육(骨肉)
제4과 평양(平壤)
제5과 과일 동산에서 일하는 동자(童子)
제6과 고려의 말년(末年)
제7과 평방(平方)과 입방(立方)
제8과 여관
제9과 여행(行旅)과 도서관
제10과 회(繪)와 도(圖)의 같지 않음
제11과 서책(書冊)을 읽는 법
제12과 황희(黃喜)와 허조(許稠)
제13과 이준경(李浚慶)과 이원익(李元翼)
제14과 친속(親屬)
제15과 지세(地勢)와 경계(境界)와 산해(山海) 및 연해안(沿海岸)
제16과 교통의 기관(機關)
제17과 곰을 만남
제18과 굳게 정함[堅定]
제19과 조세(租稅)
제20과 사회
제21과 일본
제22과 예수[耶蘇]
제23과 사동(使?)을 택함
제24과 청나라[淸國]
제25과 덕(德)으로써 원한[怨]을 갚음
제26과 시간을 정성 다해 지킬 일
제27과 늙은 농부의 저녁 이야기[夕話]
제28과 박물관
제29과 가정의 책임이 부인에게 있음
제30과 그림자를 다툼
제31과 산 속의 쥐가 은혜[德]를 갚음
제32과 직업
제33과 아편연(鴉片煙)
제34과 이병찬(李秉纘)이 하인의 산업을 일으키게 함 1
제35과 이병찬(李秉纘)이 하인의 산업을 일으키게 함 2
제36과 김수팽(金壽彭)
제37과 김수팽의 모친
제38과 친구의 편지

신찬초등소학 원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