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학 교과서 작품 읽기’를 펴내며

1부 나와 세상은 어떻게 관계하는가 시적 상황과 화자의 태도

1. 내가 나를 돌아보니, 고백과 성찰
서정주 / 자화상
윤동주 / 별 헤는 밤



안도현 / 연탄 한 장
허형만 / 녹을 닦으며

이육사 / 노정기
김광규 /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2. 내가 너를 가슴에 담으니, 사랑과 연민
이가림 / 석류
성미정 / 사랑은 야채 같은 것

전봉건 / 사랑
나희덕 / 뿌리에게

곽재구 / 사평역에서
함민복 / 눈물은 왜 짠가

3. 내가 너를 꾸짖으니, 비판과 풍자
박남수 / 새
신경림 / 농무

최승호 / 북어
김기택 / 멸치

장정일 /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김대규 / 야초

4. 내가 너를 우러르니, 예찬과 깨달음
이성부 / 봄
나태주 / 촉

한용운 / 찬송
유자효 / 아침 송

김광섭 / 산
고 은 / 눈길

2부 시의 언어는 어떻게 다른가 운율과 심상

1. 소리의 길이와 반복
김소월 / 가는 길
김 억 / 봄은 간다

김소월 / 초혼
서정주 / 국화 옆에서

박용래 / 저녁 눈
박두진 / 해

2. 소리의 느낌과 여백
김영랑 / 오매 단풍 들것네
고재종 / 성숙

이승은 / 귀로 쓴 시
권혁웅 / 떡집을 생각함

정지용 / 장수산 1
고정희 / 고백

3. 이미지를 하나로 모으기
김춘수 /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황동규 / 기항지 1

한용운 / 알 수 없어요
백 석 / 모닥불

김광균 / 와사등
이용악 /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

4. 이이미지와 이미지를 접붙이기
정지용 / 발열
최두석 / 성에꽃

전봉건 / 피아노
손택수 / 묵죽

윤동주 / 간
이용악 / 오랑캐꽃

3부 시인은 어떻게 말하는가 말하기의 세 가지 유형

1. 빗대어 말하기
정현종 /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정진규 / 감자 먹는 사람들

이장희 / 봄은 고양이로다
유치환 / 깃발

나희덕 / 천장호에서
정일근 / 둥근, 어머니의 두레밥상

김용택 / 섬진강 1
김선태 / 갈대의 시

2. 상징으로 말하기
이상화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박재삼 / 수정가

정희성 / 저문 강에 삽을 씻고
문정희 / 찬밥

최승호 / 대설주의보
김유선 / 김광섭 시인에게

김명수 / 하급반 교과서
기형도 / 홀린 사람

3. 거꾸로 말하기
김소월 / 먼 후일
문정희 / 겨울 일기

이대흠 / 아름다운 위반
김기택 / 바퀴벌레는 진화 중

한용운 / 님의 침묵
이성복 / 서해

서정주 / 견우의 노래
황동규 / 즐거운 편지

작가 약력
작품 출처
수록 교과서 보기
이 책을 엮는 데 도움을 준 선생님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