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 서문 - 참회와 사랑의 고백
초판 서문 - 폐허 앞에서
추천의 글 - 가슴으로 읽는 건축 승효상


1 세계적 유산의 또 다른 이야기 - 불국사와 석굴암

불국사와 석굴암론의 쟁점들 | 최고의 하이테크 건축 | 국제적 염원의 성취, 석굴암
경전으로서의 건축, 불국사 | 다보탑이냐, 석가탑이냐

2 문화적 전환기의 건축 - 안압지와 마곡사

변화와 위기의 순간들 | 통일의 기념 정원 안압지 | 안압지, 극단적인 것들의 통합 정신
원의 지배와 문화의 수입, 경천사지 10층석탑 | 마곡사의 탑, 이 시대의 업경대
두 가람의 집합체, 마곡사

3 백제계 건축의 평지성 - 미륵사와 금산사

백제권 건축과 지형 | 백제권의 미륵신앙과 사찰건축 | 미륵신앙의 본산, 금산사
금산사의 전각들

4 침묵의 기념비 - 종묘

왕조의 정통성을 위하여 | 길과 선의 건축 | 길어지는 건물들과 척도감
종묘의 다른 건물들 | 세계문화유산을 살리는 길

5 장인정신과 공예적 전통 - 전북의 작은 사찰들

장인들과 공예정신 | 완주 화암사 | 부안 내소사
부안 개암사 | 고창 선운사 참당암

6 유희에서 실용으로 - 부용동 원림과 해남 녹우당

어부사시사와 전가서사, 관념과 사실 | 보길도의 놀이구조 | 자연 속의 극장, 세연정
중세적 장원, 녹우당 | 녹우당, 실용의 정신 | 윤씨가의 건축들

7 합리주의와 낭만주의 - 양동마을의 관가정과 향단

양동마을 이야기 | 갈등구조 속의 건축 | 절제와 규범 속의 다양함, 관가정
뚜렷한 개성과 의도, 향단 | 관가정의 합리성과 향단의 낭만성

8 조선시대의 평창동 - 양동마을 주택들

양동마을 주택들의 개별성 | 고전적 원형, 서백당
종가급의 주택들 | 중기의 주택들 | 정자와 서당

9 모방인가, 창조인가 - 수원화성

계몽군주의 영원한 도시 | 18세기 르네상스의 꽃 | 새로운 정신, 새로운 도시
견고하고 아름다운 성곽 | 또 다른 수원화성들


부록

건축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 도면 목록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