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광희, [한국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의 변천과정] ,역락,
2 장사선, [한효론Ⅱ], [동서문화연구], 제 4집,홍익대 동서문화 연구소,1996,
3 장사선, 위의 글,
4 한효는 한남 출신이다
5 장사선, 앞의 글
6 유민영, [(증보)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출판부, 1996
7 만화 류진한이 판소리 춘향가를 듣고 그 내용을 200구의 한시로 남긴 것이다
8 졸고, [전통 사회 재담소리의 존재와 그 공연 예술사적 의의], [판소리 연구], 제25집, 판소리학회
9 사진실, [소학지희의 공연 방식과 희곡의 특성], 서울대 석사논문, 1990
졸고, [조선시대 화극의 전통과 그 역사], [공연문화연구], 제12집, 한국공연문화학회, 2006
10 이두현, 앞의 책
11 팔이 짧은 병신
12 김금화, [김금화 무가집], 문음사, 1995
13 서연호, [한국연극사-근대편], 연극과 인간, 2003
14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대출판부, 1996
15 이강렬, [한국사회주의연극운동사], 동문선, 1992
16 안광희, [한국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의 변천 과정], 역락
17 김윤식, [근대문학의 시금석-단재의 경우], [한국 근대문학 사상사], 한길사, 1984
18 유민영, 앞의 책
19 이강렬, 앞의 책, [머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