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제Ⅰ부 주해(註解)

셔(序)
자셔(自序)

권지일(卷之一)
론 공법(論公法)
론 셰무(論稅務)
론 아편(論阿片)
론 샹무(論商務)
론 개광(論開鑛)
론 화거(論火車)
론 뎐보(論電報)
론 개간(論開墾)
론 치한(論治旱)


권지이(卷之二)
론 긔긔(論機器)
론 션졍(論船政)
론 주은(論鑄銀)
론 우졍(論郵政)
론 염무(論鹽務)
론 유력(論游歷)
론 의졍(論議政)
론 고시(論考試)
부론(附論) 양학(洋學)
론 리치(論吏治)

권지삼(卷之三)
론 변방(論邊防)
론 교셥(論交涉)
론 젼교(論傳敎)
론 츌사(論出使)
론 슈사(論水師)
론 화긔(論火器)
론 련병(論練兵)

권지사(卷之四)
론 민단(論民團)
론 치하(論治河)
론 허비(論虛費)
론 렴봉(論廉俸)
론 셔리(論書吏)
론 쵸공(論招工)
론 의도(論醫道)
론 범인(論犯人)
론 셔류(論棲流)
론 챠관(論借款)
론 과죡(論裏足)

발(跋)


제Ⅱ부 해제(解題)

1. 개화기 국어 연구의 과제
2. ‘이언’의 저자(著者), 사상(思想), 서지(書誌)
2.1 정관응(鄭觀應)의 생애
2.2 정관응의 근대화 사상
2.3 ‘이언’의 저술 배경 및 의의
2.4 ‘이언’의 서지(書誌)와 내용 구성

3. ‘이언’의 국어학적 특성
3.1 표기와 음운
(1) 근대 국어의 일반적 표기
(2) 아래아 변천 및 혼기(混記)
(3) ㅅ계와 ㅂ계 자음군 표기
(4) 과잉분철(過剩分綴)
(5) 한자어 발음과 표기
(6) 오기(誤記)
3.2 형태
(1) 조어
(2) 곡용과 조사
(3) 활용과 어미
3.3 통사
(1) 의존명사
(2) 의존용언
(3) 피동법
(4) 사동법
(5) 인용법
(6) 부사
(7) 명사화
(8) 관형화
(9) 부정법
3.4 어휘
3.5 의미

4. ‘이언’의 어휘와 고어사전의 기술 문제
4.1 고유어 사례
4.2 한자어 사례
4.3 차용어 사례

5. 맺음말: ‘이언’의 국어사적 가치와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언해문 어절 찾아보기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