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1부 구운몽의 불교적 해석 『구운몽』의 사념(思念) 실현과 환생(幻生)의 의미 1. 머리말 2. 『구운몽』에 대한 불교적 해석의 정당성 3. 사념 실현으로서의 환생-성진에서 양소유로 4. 환생 극복으로서의 사념 실현-양소유에서 성진으로 5. 깨달음을 위한 서사적 장치 6. 맺음말 『구운몽』의 세속 삶과 그 극복 방식-『육미당기』와 비교를 통해 1. 문제의 제기 2. 불교 서사의 두 가닥 3. 구운몽에 형상화된 세속 삶과 그 극복방식 4. 『육미당기』에 형상화된 세속 삶과 그 극복 방식 5. 『구운몽』과 『육미당기』의 대비 6. 『구운몽』ㆍ『육미당기』와 소설사의 전개 김만중의 시문(詩文)에 나타나는 구름 1. 머리말 2. 자연 풍경의 전환적 묘사 3. 통념의 재현을 위한 수직적 수렴 4. 그리움의 발현을 위한 수평적 확산 5. 시문의 구름과 『구운몽』구름의 차이 6. 맺음말 『구운몽』의 구름과 주제 1. 머리말 2. 『구운몽』의 구름에 대한 선행연구의 해석 3. 『구운몽』에서의 구름 형상의 실현 4. 『금강경오가해』를 통한 『구운몽』구름의 의미 형성 5. 맺음말 『구운몽』의 환몽(幻夢)경험과 주제 1. 머리말 2. 속임수의 경험 3. 환몽(幻夢)의 경험 4. 진망론(眞妄論)의 파기 5. 현실을 꿈으로 관하는 여몽인(如夢忍) 6. 『능엄경』의 전유(轉有)와 환몽의 위대함 7. 살활론(殺活論)을 통한 희망의 서사 8. 맺음말 제2부 구운몽의 문학치료교육 우울증 치료 텍스트『구운몽』의 가치 1. 머리말 2. 『구운몽』에서 찾는 우울증 치료 활용 가능 요소들 3. 우울증 치료를 위한 『구운몽』활용 방안 4. 마무리 『구운몽』의 재해석과 희망의 서사 교육 1. 문제제기 2. 『구운몽』에서 찾는 우울증 치료 활용 가능 요소들 3. 『구운몽』의 재해석과 희망의 서사 교육 4. 『구운몽』에 대한 살활론(殺活論)적 교육 방안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