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실 수업의 기본 원리
1 교사는 교실 상황을 통합적으로 조정․운영하는 전문가다.- 12
2 핵심 내용을, 기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고 적당하게 제시해야 한다.- 16
3 설명은 간결하고 쉽게, 단계별로 구성해야 한다. - 20
4 학습자가 적당히 괴로워할수록 수업의 질이 올라간다. - 24
5 학습자의 다양한 질문은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 28
6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예문에도 수준이 있다. - 34
7 교육 효과 없는 질문은 할 필요가 없다. - 38

Ⅱ. 목표 표현의 교수 원리
1 목표 표현의 도입부터 학습자의 정보와 상황을 고려한다. - 44
2 목표 표현(문형)과 어휘는 종합적으로 구성한다. - 50
3 ‘V/A-어미’보다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연결 관계에 더 주목한다. - 54
4 형태 입력은 기본형부터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 58
5 목표 표현만큼 연계 표현도 중요하다. - 62
6 목표 표현에 힘주어서, 실제 상황과 함께 제시한다. - 66

Ⅲ. 기능 영역별 교수 원리
1 기능 영역은 통합을 염두에 두고 영역별로 초점화되어야 한다. - 72
2 듣기는 정보의 즉각적 해석 과정이다. - 76
3 말하기는 정보의 직접 제공 과정이다. - 80
4 읽기는 정보의 주관적 해석 과정이다. - 84
5 쓰기는 정보의 문서화 과정이다. - 88

Ⅳ. 연습 활동의 교수 원리
1 연습과 활동은 학습자의 몫이다. - 94
2 직접적이고 쉬운 것부터 순서대로 진행한다. - 98
3 보기는 최대한 간단하게, 목표 표현을 강조한다. - 102
4 학습자의 실제 상황과 연계되도록 한다. - 106
5 학습자 수행 전, 반드시 리허설이 필요하다. - 110
6 연습․활동의 유형은 학습자 단계별로 조정한다. - 114
7 모든 학습자가, 적절한 수준에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 118.

Ⅴ. 교육 자료 활용의 원리
‘확실성’, ‘타당성’, ‘통일성’, ‘연계성’ 모든 교육 자료의 원칙이다. - 124
2 교재를 절대적으로, 완전히 믿을 필요는 없다. - 128
3 백 마디의 말보다 한 장의 시각 자료가 더 좋다. - 132
4 어휘 카드와 문형 카드는 가장 효율적인 교육 자료다. - 136
5 판서는 가장 즉각적이고 직시적인 교육 보조 자료다. - 140
6 학습자의 수행 평가를 고려하여 제작-활용한다. - 144

Ⅵ. 교사 수업 발화의 원리
1 세심한 교사 언어가 수업을 역동적으로 만들어 준다. - 150
2 또박또박, 어색하지 않게 표준어를 표준 발음으로 말한다. - 154
3 쉬운 것은 신속하게, 어려운 것은 천천히 말한다. – 158
4 틀리기 쉬운, 틀리면서 하게 되는 표현을 고려해서 말한다 - 160.
5 ‘몸짓언어’에도 수준이 있다. -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