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중세(中世) 여행 체험과 문학교육의 시각_ 김종철

제1부
화랑의 순유(巡遊)와 향가_ 신재홍
유거(幽居)와 탐승(探勝), 자연미의 상보적 기반_ 권정은
기행가사의 '공간'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_ 염은열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사경(寫景)의 문학교육적 의의_ 정한기

제2부
혜초 <왕오천축국전>의 기행문학적 고찰_ 박기석
최부의 <표해록>에 타나난 해외 체험과 체험의 대화적 재구성
<간양(看羊錄)>의 피로(被虜) 체험 글쓰기와 그 문학교육적 의미_ 정충권
김기수의 [일동기유(日東記游)] 나타난 대외 공간 인식 연구_ 배수찬
고전기행문학과 경험 교육_ 주재우

제3부
유배체험의 형상화와 그 교육적 의미_ 이승복
박제가 기행문의 문예 미학 연구_ 김성룡
이상수의 숙리산유기(俗離山遊記)에 드러나는 의론(議論)의 강화와 그 특징_ 김용남

제4부
구술 여행담의 문학적 성격과 교육적 의의_ 신동흔
사적지 기행 다큐멘터리의 담론체계와 글쓰기 방안_ 송팔성
문학을 통한 인문지리적 사고력 교육의 가능성 탐색_ 황혜진
자기서사에 따른 사물의 의미변용과 여행 체험_ 서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