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논의의 중심
제1장 사설시조의 웃음 해명을 위한 단서
1. 문제제기
2. 방법론적 고민
3. 웃음 논의의 해석적 기제

제2장 사설시조의 웃음, 그 생성 원리와 유형
1. 웃음의 생성 원리
2. 원리에 따른 웃음 유형

제3장 사설시조의 담론과 웃음
1. 미학과 담론
2. 담론과 웃음의 관계

제4장 사설시조의 웃음, 그 본질과 미학
1. 유머와 넌센스
2. 단성성과 리얼리즘
3. 다성성과 뒤섞임

제5장 매듭짓기


2부 논의의 주변
제1장 시조를 통해 본 한국 시가의 웃음 유형과 미학
1. 들어가기
2. 웃음 유형적 구조적 특질
3. 구조에 함의된 한국 시가의 웃음 미학
4. 나오기

제2장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과 그 미학적 의미
1. 들어가기
2. 논의를 위한 이해의 틀:희비극성과 텍스트성
3.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
4. 희비극성에 함의된 미학적 변주
5. 남은 과제들

제3장 사설시조의 일상성 담론과 미학, 그리고 근대
1. 문제제기-일상성과 근대성
2. 사설시조에 드러난 일상성 담론의 몇 국면
3. 일상성 담론의 근대적 함의-시적 화자의 시선과 희비극성
4. 결론

제4장 시조의 세계관적 구조와 그 시학적 의미
1. 문제제기
2. 시조의 세계관적 구조
3. 구조가 함의한 시학적 의미
4. 요약 및 남은 과제

제5장 고려속요의 웃음, 그 양상과 미학-사설시조와의 비교를 통해-
1. 들어가는 말
2. 고려속요에 나타난 웃음의 양상
3. 웃음의 미학적 함의와 그 시가사적 전승
4. 마무리


3부 작품론
參考事項 / 409
사설시조 모음 / 420


참고문헌 / 648

부록 색인
1・2부 색인 / 665
3부 색인
작품색인:中章 / 671
작품색인:終章 / 678
作家索引 / 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