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의 상류주택
1.1 한국의 주거문화
1.2 반가의 계층성
1.3 민가의 지역성
2. 한ㆍ중ㆍ일의 상류주택
2.1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
2.2 한ㆍ중ㆍ일의 상류주택의 배치구성
2.3 한ㆍ중ㆍ일의 상류주택의 평면구성
2.4 한ㆍ중ㆍ일의 상류주택의 건축구성
2.5 한ㆍ중ㆍ일의 상류주택의 공간구성
3. 뜰집의 이해
3.1 뜰집의 형성 배경
3.2 뜰집의 안마당
3.3 뜰집의 건축성
3.4 뜰집의 일체화 과정
4. 안동지역의 뜰집
4.1 안채의 형식
4.2 유형별 특성
4.3 날개형 뜰집
4.4 경계구조
5. 뜰집의 지역간 교류성
5.1 영동문화권의 지역토착 의식
5.2 영동문화권 민가의 지역성
5.3 주문화(住文化)의 교류환경
5.4 영동문화권 뜰집의 분포 및 유형
5.5 영동문화권 뜰집의 특성
6. 뜰집의 계층간 교류성
6.1 지역문화 환경
6.2 여칸집과 뜰집의 차이
6.3 '반가형 여칸집'
6.4 '민가형 뜰집'
6.5 민가형 뜰집의 주거문화적 의미
7. 뜰집의 계획성
7.1 뜰집의 일조환경
7.2 뜰집의 수직 구조와 일조환경
7.3 뜰집의 유형별 일조환경 조절
7.4 울지니역 4량 뜰집의 일조조절
7.5 주생활적 합리성
다양한 뜰집이야기
故 家民 조성기 선생을 다시 생각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