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4

I. 나를 찾아 불안을 넘어서기 13
1. 의사소통과 자아 개념 14
1) 자아 개념의 형성 과정 16
(1) 자아 개념의 의미
(2) 자아 개념의 형성 사례: 교사의 피드백이 학생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
(3) 중요한 타인
(4) 거울에 비친 자아


2) 자아 개념과 의사소통 방식 20
(1) 자아 개념의 순환과 고착
(2) 자기실현적 예언 사례: ‘말하는 대로’

2. 의사소통 불안 25
1) 의사소통 불안의 개념 28
사례: 의사소통 불안이 삶에 미치는 영향
2) 의사소통 불안의 유형 30
3) 의사소통 불안의 원인 31
(1) 생리적인 측면의 반응
(2) 인지적인 측면의 반응
4) 의사소통 불안의 대처 방법 33
(1) 생리적 문제에 대한 대처 방법 사례: 불안증 극복 체조
(2) 인지적 문제에 대한 대처 방법

II. 나와 너에서 우리가 되기 39
1. 자기 노출 40
1) 자기 노출의 개념 42
2) 자기 노출의 효능 43
(1) 개인의 성장
(2) 대인 관계의 형성과 발전 사례: 대인 관계 발전의 과정
3) 자기 노출의 차원 45
(1) 사회적 침투 이론 사례: 자기 노출의 정도
사례: 사회적 침투 이론
(2) 조하리의 창(Johari window)
4) 자기 노출의 방법 50
(1) 상호성의 규범 사례: 자기 노출의 불균형
사례: 자기 노출의 위험성
(2) 경계 관리 이론
5) 자기 노출의 변인 54
사례: 자기 노출의 성별 차이

2. 공감적 듣기 56
1) 공감적 듣기의 개념 58
(1) 공감의 의미
(2) 공감적 듣기의 의미 사례: 공감보다 판단하고 충고하는 대화
사례: 상대의 마음에 공감하는 대화
(3) 공감적 듣기의 효능
2) 공감적 듣기의 방법 64
(1) 소극적 들어주기
(2) 적극적 들어주기

III. 마음과 마음을 잇기 71
1. 협력의 원리 72
1) 협력의 원리 73
(1) 양의 격률
(2) 질의 격률
(3) 관련성의 격률
(4) 태도의 격률
2) 대화 함축 78
사례: 질의 격률을 위반한 대화 함축

2. 예의의 원리 81
1) 예의 규칙 84
2) 공손성(예의)의 원리 86
(1) 요령의 격률 사례: 상대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대화
(2) 관용의 격률
(3) 칭찬의 격률
(4) 겸양의 격률
(5) 동의의 격률
(6) 공감의 격률
3) 예의 이론(체면위협행위) 92
(1) 체면과 체면위협행위
(2) 체면의 구분: 적극적 체면, 소극적 체면
(3) 예의 전략
(4) 전략의 선택

IV. 눈과 몸으로 말하기 101
1. 비언어 의사소통의 본질 102
1) 비언어 의사소통의 개념 103
(1) 비언어 의사소통의 범위
(2) 언어와 비언어의 관계
사례: 언어적 메시지와 비언어적 메시지의 관계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유형 105
(1) 신체적 모습
(2) 인공물 사례: 장신구의 메시지
사례: 의상의 메시지
(3) 동작
사례: ‘아이 터치’ 부족한 의사, 오진율 높아
(4) 신체 접촉
사례: ‘좋은 엄마 되기’를 실천하여 아이를 꼭 안아 주는 엄마의
모습을 담은 텔레비전 광고
사례: 터치스크린폰에서 ‘촉각’이란 뜻의 ‘Haptic’을 상품명으로
사용한 경우
(5) 음성 행위(준언어) 사례: 억양에 따른 ‘그래’의 의미 변화
(6) 공간 사례: 공간과 개인 성향
사례: 책상 배열에 따른 의사소통 구도
(7) 시간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사용 119
1) 비언어 의사소통의 기능 121
(1) 감정을 표현한다
(2) 대인관계의 태도를 표현한다
(3) 대화에서 상호작용의 단서를 제공한다
(4) 자기표현을 한다
(5) 관습적 행위를 한다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사용 원리 124
(1) 복합 메시지의 불일치에 대한 인식
(2) 본능적이고 무의식적인 표현에 대한 주의
사례: 화자의 비의도적 메시지를 청자가 메시지로 인식한 경우
(3) 직접적인 감정 노출에 대한 주의
(4) 문화적 차이에 대한 민감성 제고
사례: 문화적 민감성의 중요성

V. 우리 안의 교집합 찾기 133
1. 문화적 차원 134
1)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 137
(1) 고-맥락 문화의 간접 언어 표현 방식
사례: 직접적인 언어 표현보다 맥락으로 소통하는 경우
사례: 고맥락 문화적 의사소통
(2) 저-맥락 문화의 직접 언어 표현 방식
사례: ‘예’와 ‘아니오’가 분명한 직접적 언어 표현 방식
2) 문화적 차원 이론 143
(1) 개인주의
(2) 권력 격차
(3) 불확실성 회피
(4) 남성주의

2. 언어 공동체 150
1) 언어 공동체의 사전적 정의 153
2) 언어 공동체의 변수 153
(1) 민족과 언어 공동체
(2) 지역과 언어 공동체
(3) 혈통과 언어 공동체
사례: 인종 차별 표현
(4) 모어와 언어 공동체
3) 언어 공동체의 조건: 규범과 관습 160
4) 언어 공동체의 범위: 중층과 중복 161
5) 언어 공동체와 담화 공동체 163
(1) 담화 공동체의 개념
(2) 사회 구성주의 작문 이론과 담화 공동체

VI. 마음을 흔드는 메시지 짜기 167
1. 동기화 단계 조직 168
1) 설득 메시지 조직의 유형 170
(1) 문제-해결 조직 사례: 문제-해결 조직
(2) 문제-원인-해결 조직
사례: 문제-원인-해결 조직
(3) 동기화 단계 조직
2) 동기화 단계 조직의 기원 173
(1) 아리스토텔레스
(2) 존 듀이
3) 동기화 단계 조직의 세부 단계 175
(1) 주의 끌기
(2) 요구
(3) 만족
(4) 시각화
(5) 행동
사례: 동기화 단계 조직의 전략과 효과
4) 동기화 단계 조직의 특성 180
(1) 청자의 심리를 중시
(2) 이성과 감성의 균형
5) 청자 입장에 따른 동기화 단계 181
참고: 청자의 입장에 따른 동기화 단계의 전략적 적용
2. 내용 연결 표현 186
1) 내용 연결 표현의 개념 188
사례: 내용 연결 표현
2) 내용 연결 표현의 성격 189
(1) 담화 표지
(2) 텍스트 구조 표지
3) 내용 연결 표현의 유형 191
사례: 내용 연결 표현의 유형
4) 내용 연결 표현의 기능 193
(1) 내용의 논리적 구조 묘사
(2) 메시지와 청자의 심리적 결속
(3) 쌍방향 대화 효과 유발

VII. 상대에게 메시지 흐름 맞추기 197
1. 청자 분석의 원리 198
1) 청자 분석의 중요성 200
2) 정교화 가능성 모형 201
(1) 메시지 처리 경로
(2) 경로 선택의 변인
사례: 태도의 지속성에 대한 실험 결과
(3) 정교화 가능성 이론의 시사점

2. 청자 분석과 메시지 조직 207
1) 메시지 조직의 핵심 변인 208
(1) 기존 입장
사례: 청자의 기존 입장에 따른 일면 메시지와 양면 메시지의 선택 | (2) 지적 수준
사례: 양면 메시지의 제시 순서
(3) 사전 지식 사례: 사전 지식의 정도가 양면 메시지 처리에 미치는 영향
사례: 도입부에서 배경 설명을 충실하게 한 메시지
(4) 개인적 관련성 사례: 개인적 관련성을 높이기 위한 내용
사례: 화자의 주장과 청자의 개인화를 일치시킨 메시지
2) 핵심 변인의 종합적 적용 219
사례: 청자 분석을 통한 메시지 조직

VIII. 신뢰와 감성으로 설득하기 221
1. 화자의 공신력 222
1) 화자의 공신력의 기원 223
2) 화자의 공신력의 개념 224
(1) 특정한 화제에 관계없이
(2)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3) 커뮤니케이터의 속성의 집합으로서
(4) 커뮤니케이터 자신 속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들의 지각과
판단에 의해 평가
(5)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3) 화자의 공신력의 차원 226
(1) 전문성
(2) 신뢰성
(3) 사회성
(4) 침착성
(5) 외향성
4) 화자의 공신력 신장 방안 228
(1) 타인의 소개
(2) 철저한 준비
(3) 공감대 형성
(4) 언어적 표현
(5) 비언어적 전달
(6)무지에 대한 인정

2. 감성적 설득 전략 231
1) 감성적 소구의 개념 234
2) 감성적 소구의 중요성 234
3) 감성적 소구의 유형 236
(1) 공포 소구
(2) 유머 소구
(3) 성적 소구
(4) 온정 소구
4) 감성적 소구의 사용 전략 240
(1) 감성적 소구와 이성적 소구의 균형
(2) 청자의 요구에 주목하여 설득 메시지 개인화
(3) 감성적인 어휘나 표현의 사용
사례: 마틴 루서 킹 목사의 연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4) 진심을 담은 전달
(5) 윤리적 문제에 유의

IX. 왜라는 질문에 답하기 245
1. 논증의 원리 246
1) 논증의 개념 248
2) 논증의 조건 248
3) 논증의 요소 249
(1) 주장
(2) 근거
사례: 개인적 경험을 근거로 사용한 경우
4) 툴민의 논증 모형 252
(1) 주장(Claim)
(2) 근거(Data)
(3) 이유(Warrant)
(4) 보강(Backing)
(5) 반박(Rebuttal)
(6) 한정어(Qualifier)
5) 툴민 논증의 특징 257

2. 논증의 방법과 오류 259
1) 연역 논증 261
(1) 연역 논증의 방법
(2) 연역 논증 관련 오류
사례: 연역 논증의 사례
2) 귀납 논증 264
(1) 귀납 논증의 방법
(2) 귀납 논증 관련 오류
3) 인과 논증 265
(1) 인과 논증의 방법
(2) 인과 논증 관련 오류
4) 유추 논증 267
(1) 유추 논증의 방법
사례: 양측의 토론자가 사용한 유추 논증
(2) 유추 논증 관련 오류
5) 기타 오류 유형 269
(1) 무지의 오류
(2) 논점 일탈의 오류
(3) 순환 논증의 오류
(4) 흑백 사고의 오류
(5) 복합 질문의 오류

X. 함께 해결 방안 따지기 273
1. 토론의 본질 274
1) 토론의 성격 275
2) 토론의 목적 276
3) 토론의 논제 277
(1) 논제의 성격
(2) 논제의 유형
(3) 논제의 진술
(4) 논제의 표현
(5) 논제의 용어
(6) 논제의 공개
4) 토론의 규칙 282
5) 토론의 유형 284
(1) CEDA 토론(반대 신문 토론)
(2) 칼 포퍼 토론(Karl Popper Debate)
(3) 의회식 토론(Parliamentary Debate)
사례: 발언권 요청
(4) 링컨 더글러스 토론(Lincoln -Douglas Debate)
(5) 공공 포럼 토론(Public Forum Debate)

2. 토론의 방법 292
1) 입증 책임 294
(1) 입증 책임의 개념
(2) 입증 책임의 균형성
(3) 입증 책임의 기능
2) 필수 쟁점 296
(1) 문제 쟁점
(2) 해결 방안 쟁점
(3) 이익/비용 쟁점
사례: 정책 논제의 필수 쟁점을 따른 내용 구성
3) 반대 신문 300
(1) 반대 신문 내용
(2) 반대 신문 질문 전략
(3) 반대 신문 답변 전략
(4) 반대 신문 태도

참고문헌 305
찾아보기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