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아리랑>이란 무엇인가? 13

1. <아리랑>, 한민족의 문화 표상_ 15
2. 받는소리,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_ 20
3. 아리랑의 미학_ 22
⑴ 아리랑의 근대성 22
⑵ 아리랑의 악곡 구조27
4. 아리랑의 정서_ 28
5. 아리랑 고개, 한민족의 심상공간_ 44


6. <아리랑>의 문화 - ‘한(恨)’과 ‘풍류’_ 50
7. <아리랑>, 세계의 노래, “쌀의 노래”_ 53



제2부 아리랑, 그 길고 긴 내력 61

1. 아리랑에 의한 아리랑 읽기_ 63
⑴ 아리랑, 아리랑문화의 개념66
⑵ 아리랑의 발생과 그 배경68
⑶ 전승 배경·기능을 담은 명칭72
⑷ 정체성, 동일체의 인자, 후렴78
⑸ 아리랑의 성격 변화86
2. 근대민요 아리랑의 부각_ 97
⑴ 역사에의 의탁, ‘신성염곡 아리랑타령’97
⑵ 화려한 헌사, ‘아리랑은 쌀’103
⑶ 일제가 주목한 공시매체(公示媒體), 아리랑111
3. 근대사의 만화경, 아리랑문화_ 116
⑴ 영화 <아리랑>, 주제가 <아리랑>의 탄생117
⑵ 영화 <아리랑>의 줄거리125
⑶ 나운규와 장송곡128
⑷ ‘모든 노래는 아리랑으로 통한다’130
⑸ 총독부의 황민화 정책, <非常時아리랑>184
⑹ 훼절 아리랑, 악극 <아리랑>188
⑺ 아리랑문화운동199
⑻ 동포사회에 각인된 디아스포라 아리랑208
4. 지속과 변용의 길_ 236
⑴ 잡가집 소재 아리랑의 양상과 확산236
⑵ 음반을 통한 확산246
⑶ 방송에 의한 확산255
⑷ 유행가집을 통한 확산259
5. 본조아리랑 시대_ 262
⑴ 아리랑의 위상, 본조(本調)아리랑262
⑵ 주제가 <아리랑>에서 본조아리랑으로265
⑶ 1940년대 후반부터 사용267
⑷ 본조는 대표(代表)라는 위상을 의미270



제3부 아리랑의 분포와 그 양상 283

1. 아리랑의 종류와 지역적 분포_ 285
⑴ 하나이면서 여럿인 또는 같으면서 다른 아리랑285
⑵ 아리랑의 지역적 분포288
⑶ 북한에서의 민요와 아리랑 분류290
⑷ 해외 동포사회291
2. 각 지역 아리랑의 실상과 사연_ 293
⑴ 아리랑고개는 문경새재?293
⑵ 서울의 아리랑과 서울아리랑299
⑶ 삶의 소리, 천년의 노래 정선아라리310
⑷ ‘아무나 잘 부를 수 없는’ 진도아리랑318
⑸ 동시대성이 돋보이는 밀양아리랑328
⑹ 북한의 아리랑335
⑺ 아리랑, 통일을 지향하는 전승으로342



제4부 여러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345

1. 들어가며_ 347
2. 노래로서의 아리랑을 위한 민요의 일반적인 이해_ 348
⑴ 민요의 빠르기와 리듬적 특징을 나타내는 장단349
⑵ 민요의 지역별 고유한 음악적 특징인 조(調)350
⑶ 민요의 맛을 더욱 살리는 표현의 요소들352
⑷ 민요를 부르는 방식353
⑸ 신민요와 기보법354
3. 여러 아리랑의 음악적 특징_ 355
⑴ 긴 아리랑355
⑵ 아리랑358
⑶ 밀양아리랑361
⑷ 진도아리랑363
⑸ 정선아리랑367
⑹ 강원도아리랑371
4. 맺으며_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