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慕賢 모티프
-「讚耆婆郞歌」와 「蜀相」을 中心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作詩 배경
1.「찬기파랑가」의경우
2. 「촉상」의경우
Ⅲ. 작품 분석


1. 「찬기파랑가」의보편적담론
2. 「촉상」의서정적담론
Ⅳ. 「찬기파랑가」․「촉상」의 대비
Ⅴ. 문제의 정리



新羅人의願望空間
-願往生歌 바로 읽기-

Ⅰ. 문제의 제기
Ⅱ. 연구사 정리
Ⅲ. 바로 읽기 ― 쟁점과 대안
1. 설화와노래의관계 ― 작자와 사상적 배경
2. 달[月]과등장인물의관계
3. 노랫말의보편적풀이
Ⅳ. 작품 읽기의 실제와 평설
Ⅴ. 문제의 정리


山水詩人 金克已의 시세계
-田家樂事의 美學-

Ⅰ.문제의 제기
Ⅱ.문학사적 位相
Ⅲ . 작품 분석
1. 詩語의분석
2. 主題의분석
1) 避世屬性 2) 田家樂事
3) 自傲 4) 鄉愁
Ⅳ. 老峯詩의 特質
1. 寫實性
2. 諷刺性
3. 運思極巧
Ⅴ. 문제의 정리



白樂天의 詩文學 受容攷
-白雲․退堂의 「三魔詩」를 중심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작품 분석 및 대비
1. 색마시色魔詩
2. 주마시酒魔詩
3. 시마시詩魔詩
Ⅲ. 문제의 정리



冲庵 金浄의 文學思想
-「十一箴」을 中心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十一箴」과 충암의 인간학 ― 幷序를 중심으로
Ⅲ. 정조미의 사상적 유형
1. 온고혁신적실천문학
2. 居經躬行의행동강령
1) 和平中正의 道-「言箴」
2) 和平正大의 道-「行箴」
3) 精志의 道-「志箴」
4) 道德的 中和-「勇箴」
5) 君子의 지혜-「虞箴」
6) 不朽의 哲人은-「逸樂箴」
7) 君子는 天命을 즐길 뿐-「憂懼箴」
8) 知足不辱-「欲箴」
9) 敬以內直-「容儀箴」
10) 忠恕의 美學-「忿恨箴」
11) 中道의 不偏不黨함-「好惡箴」
Ⅳ. 문제의 정리



松江․ 孤山 시조문학의 원류

Ⅰ. 詩學으로서의 用事
Ⅱ. 時調와 用事
Ⅲ. 用事의 실제
1. 屈原의情恨
2. 李白의풍류
3. 杜甫의至情
4. 其外의경우
Ⅳ. 문제의 정리



穆陵文苑의 學唐과 詩的變移
-思庵 朴淳을 중심으로-

Ⅰ. 盛唐詩와 穆陵盛世
Ⅱ. 사암 시대의 문풍과 그의 문학관
Ⅲ. 사암 시의 兩面性
1. 덜가신앙금
2. 淸邵한시품
Ⅳ. 문제의 정리



詩品格論으로서의 正宗․大家論

Ⅰ. 문제의 제기
Ⅱ. 정종․대가론의 溯源
1. 南宋의시론과嚴羽
2. 高棅의 <당시품휘>
Ⅲ. 諸家의 정종․대가론
Ⅳ. 정종․대가優劣論
1. 관각삼걸의웅혼
2. 삼당의위미․염려
Ⅴ. 문제의 정리



退堂 柳命天論

Ⅰ. 문제의 제기
Ⅱ. 가계와 생애
Ⅲ. 텍스트 개관
Ⅳ. 퇴당의 문학관
Ⅴ. 작품 세계
1. 人事詩類
2. 謫所述懷
3. 題詩詠物
4. 用事詩
Ⅵ. 퇴당시의 특질 및 문학사적 위상 ― 문제의 정리를 겸하여



退堂 柳命天의 杜詩受容論
-「悲秋八首」와「秋興八首」를 중심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퇴당의 讀杜 管窺
Ⅲ. 작시 배경
Ⅳ. 작품 대비․분석
Ⅴ. 문제의 정리 및 남는 과제


新華夷論的 自尊의 美學
-자존의식과 주체성 탐색을 위하여-

Ⅰ. 문제의 제기
Ⅱ. 사관, 그 긍정적 모색
1. 춘추사관과민족사관
2. 모색의가능성
Ⅲ. 自尊, 또는 主體의 노래
1. 왜天帝의후예인가
2. 文藝의同格,혹은優越性
3. 脫傳統,民族文學論
Ⅳ. 문제의 정리



正名主義와 新華夷論
-채제공의 <含忍錄>을 중심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연구사 검토
Ⅲ. 師承 및 交遊
Ⅳ. 作品論
1. 형식
2. 내용
1) 존명배청 2) 尊我的 문화의식
3) 여정의 詩化
① 史素의시화 ② 古人古事의 시화 ③ 人間美의 시화
Ⅴ. 位相定立을 위한 남은 과제
Ⅵ. 문제의 정리



茶山의 杜詩受容考
-<三吏>를 中心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다산의 右杜論
Ⅲ. 作品論
1. 두보의「三吏」
1) 新安吏 2) 潼關吏
3) 石壕吏
2. 다산의「三吏」
1) 龍山吏 2) 派池吏
3) 海南吏
Ⅳ. 비교론
1. 傷時憤俗
2. 以詩論時
3. 詩論對比
1) 두보의 詩論 2) 다산의 詩論
Ⅴ. 문제의 정리



紫霞 申緯의 詩學
-由蘇入杜論과 관련하여-

Ⅰ. 문제의 제기
Ⅱ. 자하의 詩學
1. 眞詩에로의눈뜸
2. 자하와담계의만남
3. 大家의변조
Ⅲ. 문제의 정리


申紫霞의 「象山四十詠」攷

Ⅰ. 문제의 제기
Ⅱ. 내용 분석
1. 遊興賞景
2. 竹枝의노래
3. 鑑戒의정조
4. 諷刺
Ⅲ. 修辭 類型
1. 用事性
2. 感覺性
3. 肯否․反問法
Ⅳ. 문제의 정리 및 남은 과제



申紫霞 詩의 몇 가지 특징

Ⅰ. 문제의 제기
Ⅱ. 가문의식
Ⅲ. 三絶의 自傲意識
Ⅳ. 奔放한 風流
Ⅴ. 정리 및 남은 과제



秋史의「送紫霞入燕十首幷序」攷
-秋史의 近世文學史的 位相 定立을 위하여-

Ⅰ. 연구 목적 및 범위
Ⅱ. 「送紫霞入燕 十首」의 창작 동기
Ⅲ. 淸朝 人事와의 交遊
Ⅳ. 「送紫霞入燕十首」 분석
Ⅴ. 문제의 정리 및 남는 과제


韓․中 戰爭詩攷
-安․史亂과 壬․丁倭亂을 중심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전쟁, 그 야수의 유혹
Ⅲ. 모티프의 몇 유형
1. 비판과풍자의노래
2. 위무와督戰의충정
3. 참상과연민의의분
Ⅳ. 결론과 남는 문제들


僧將의 戰爭詩攷
-全生安樂國, 그 反常의 美學-

Ⅰ. 문제의 제기
Ⅱ. 국가와불교 ― 全生安樂國
Ⅲ. 승장의 전쟁시 ― 反常의 美學
1. 報國
2. 傷情
3. 交隣
4. 영원한山人
Ⅳ. 문제의 정리



大圓禪師의 詩世界

Ⅰ. 머리말
Ⅱ. 선사의 道統 및 대원집 管窺
Ⅲ. 작품 세계
1. 순수불교시
2. 승속간교유시
3. 산수시에스민禪趣
4. 鑑戒및풍자시
Ⅳ. 문제의 정리



生態論的 詩學
-「성북동 비둘기」를 위하여-

Ⅰ. 생태학 담론
Ⅱ. 임규와 김광섭의 시적 거리
Ⅲ. 작품의 이해와 분석
Ⅳ. 문제의 정리 및 남는 과제



文化空間으로서의 寺刹

Ⅰ. 문제의 제기
Ⅱ. 題詠詩로서의 寺刹題詠詩
Ⅲ. 문화공간으로서의 사찰
1. 儒佛不二의詩․書․畵공간
2. 무용과음악의조화경
3. 불교예술의진수,佛畵
Ⅳ. 문제의 정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