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 세종

 태종 이방원 ―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한 불행한 아들
 원경왕후 민씨 ― 공평하게 사랑하지 못한 어머니
 소헌왕후 심씨 ― 국모가 된 죄
 왕자 이도 ― 세종대왕의 어린 시절
 두 사람의 형 ― 양녕대군과 효령대군


 양녕대군 vs 충녕대군 ― 세자 책봉 정책
 왕위 선위 ― 경복궁의 주인이 바뀌던 날
 세종과 태종 ― 동시대를 다스린 두 사람의 왕
 왕이 되지 못한 형들 ―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의 이후

2. 전문가의 시대

 황희 정승 ― 명재상의 진실
 맹사성 ― 소를 타고 다니는 재상
 허조 ― 제3의 정승
 안숭선 ― 바람의 도승지
 장영실 ― 조선의 시간을 발명하다
 이천 ― 또 한 사람의 기술자
 박연 ― 조선의 음악을 만들다
 오례의 정리 ― 조선의 정체성을 만들다
 훈민정음의 창제 ― 조선 고유의 문자를 만들라
 훈민정음 프로젝트 ― 성삼문과 신숙주, 젊은 두 천재 단짝
 집현전의 설치 ― 지혜로운 자들을 한데 모으다
 용인술 ―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마침내 꽃이 되었다

3. 빛이 강할수록 어둠도 짙은 법

 세종의 건강기록부 ― 낫지 않는 눈병, 그리고 임질의 논란
 사대주의의 병폐 ― 열을 잘 한다 해도 하나를 잘 하지 못한다면
 세종의 YES맨 ― 도승지 조서강, 간신인가 충신인가
 세종의 여인들 ― 혜빈 양씨와 세종의 비빈들
 멧돼지와 귀공자 ― 수양대군과 안평대군
 집현전 ― 세종의 아이들
 
4. 선량한 독재자의 그림자

 세종 승하 ― 선량한 독재자가 떠나간 후
 8공자의 강성 ― 메뚜기 왕자들의 번성과 비극
 수양대군의 한 ― 세종 이후의 인재들의 행방
 부서진 세종의 유산 ― 조선 시대 최대의 골육상쟁
 세종은 조선이다 ― 후세의 사람들, 세종의 시대를 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