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_5
서포만필서_15
상-1 문왕의 칭왕 사실과 무왕의 은나라 정벌 시기 _25
상-2 주나라 태왕의 맏아들인 태백의 실상 _33
상-3 주나라 무왕의 혁명과 혁명 이후의 사적 _39
상-4 봉건설 비판 _48
상-5 범증과 동공 _52
상-6 장량의 시중時中 _64
상-7 장자방과 상산사호 _77
상-8 강후의 좌단 호령 _82
상-9 번쾌와 여씨의 난 _86
상-10 설공의 계책 _91
상-11 조조와 유현덕 _94
상-12 유현덕의 오나라 공격 _99
상-13 조비와 사마염 등의 찬탈 _103
상-14 사안의 처신 _106
상-15 북위 효문제의 중국동화 정책 _114
상-16 당태종의 고구려 침략 _118
상-17 역사문헌의 개연적 사실 언급과 사실 기록의 미비 _122
상-18 「도리자」라는 참요 _128
상-19 장손무기의 간쟁 _131
상-20 당나라 명황의 인물 평어 _135
상-21 당나라 태종의 재평가 _141
상-22 당나라 헌종에 대한 배도·한유의 지나친 칭송 _144
상-23 「평회서비」의 불공정한 서술 _148
상-24 배도의 재평가 _151
상-25 당나라 말 군벌 이극용의 처신 _154
상-26 망국의 군주 당나라 소종의 행적 _157
상-27 후량의 유수기의 행적과 심리 _164
상-28 후주 세종의 왕위 계승 _169
상-29 『자치통감』과 『통감강목』의 미비 _175
상-30 『통감강목』의 기신紀信 기록 _178
상-31 『자치통감』의 「대풍가」누락 _181
상-32 『통감』의 기린각 공신 관련 기록 _184
상-33 『통감』의 북위 황제 향년 기록 _187
상-34 『자치통감』의 우미인 기록 누락 _190
상-35 『한서』의 개작 오류 _194
상-36 역사서의 왜곡 _198
상-37 제갈공명과 방통 _201
상-38 정사 『삼국지』의 제갈량 기록 _205
상-39 조조, 제갈량, 사마의의 용병술 _210
상-40 당나라 태종의 논공행상 _214
상-41 조광윤의 하동 평정 지연 _218
상-42 제갈공명의 마속 기용 _221
상-43 주자의 인물논평에 나타난 일종의 편파성 _225
상-44 도교, 불교, 유교의 근본 특색과 변질 _229
상-45 불교, 도교와 유학의 생사관 _233
상-46 『주역』「계사전」의 작자 _235
상-47 포저 조익의 『맹자』 구문 해석 _239
상-48 시경 「관저」의 작중 화자 _244
상-49 『시경』의 음시 _249
상-50 『서경』「여형」의 육형 _254
상-51 『효경』의 가치 _260
상-52 계곡 장유의 격물론 _265
상-53 『서경』과 『맹자』의 성탕 사적 왜곡 _269
상-54 공자의 제자들이 유약을 공자처럼 섬기려 했다는 『맹자』의 기록 _275
상-55 『논어』에서의 관중 평가 _278
상-56 제나라 오릉중자라는 인물 _286
상-57 『맹자』 수록의 공자 학설 _291
상-58 『중용』의 애공문정장 _295
상-59 맹자가 제나라의 연나라 정벌을 승인했다는 설 _301
상-60 순舜이 부모에게 고하지 않고 장가들었다는 설 _308
상-61 고수의 살인사건과 사법관 고요의 조처 _316
상-62 주자의 등문공 폄하 _326
상-63 「관저」의 저구 _331
상-64 마음에 관한 논설 _338
상-65 인심도심설 _345
상-66 북송 명인들의 지감과 그 한계 _350
상-67 정호와 소식의 당파성 _354
상-68 주자의 소식 비판과 소옹의 정이 비판 _358
상-69 왕안석의 재평가 _362
상-70 북송 명인들의 편견과 당파성 _366
상-71 소동파의 참월 _372
상-72 북송과 영종의 생부 추존과 예제 개정 _377
상-73 주자 「체협의」의 예제 _387
상-74 제왕가의 상기 단축 _393
상-75 주나라 성왕을 보필한 주공의 공적 _403
상-76 역사 후퇴설 비판 _407
상-77 하·은·주 삼대의 이상화 비판 _411
상-78 『장자』의 고전적 가치 _417
상-79 상산 육구연의 심학 _421
상-80 정이와 선불교 _425
상-81 맹자와 주자의 유연한 학문태도 _429
상-82 주자와 육상산의 공부법 _434
상-83 불교와 유교의 유사성 _437
상-84 정이 문하와 선불교 _442
상-85 주자와 선불교 _447
상-86 가묘의 예법 _450
상-87 정이의 초조初祖 제사 _453
상-88 주자의 인물 평가에 나타난 편파성 _456
상-89 정이·정호와 주자의 함양 공부 차이 _459
상-90 정주학의 도통설 재론 _461
상-91 『시경』「관저」의 작중 화자 재론 _465
상-92 나흠순과 장유의 인심도심설 _468
상-93 하·은·주 삼대 문화 재론 _474
상-94 유학의 심성론과 불교의 관계 _479
상-95 제갈공명의 학문과 실천 _483
상-96 제갈공명의 덕행 재론 _487
상-97 남송 명송의 즉위와 조여우·주자의 공로 _492
상-98 공자 이후의 도통道統 _496
상-99 주자의 변론하기를 좋아함 _501
상-100 불교의 살생 금지와 유교의 인仁 _504
상-101 불교의 귀신설 _509
상-102 유교와 불교, 그리고 풍수설에 나타난 죽음의 관념 _514
상-103 주자의 불교게송 분석 비판 _516
상-104 주자의 불경 비판 재고 _520
부록 서포만필 인명사전 _527
* 서포만필 하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