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국문문법에서의 ‘7언분’ 설정
2.3. 말에서의 ‘6체’ 설정
2.4. 국어문법에서의 ‘9기’ 설정
2.5. 말의소리에서의 ‘6씨’ 설정
3. 각 품사의 형성
3.1. 의미소로 형성된 것
3.2. 문법소로 형성된 것
3.3. 의미소와 문법소로 형성된 것
4. 마무리
제2장 문장론의 형성
제1절 문장성분의 형성
1. 머리말
2. 여러 언어형식의 설정
3. 문장성분의 형성
3.1. 주성분의 형성
3.2 부속성분의 형성
3.3 주어부와 서술부의 형성
4. 마무리
제2절 문장구조의 형성
1. 머리말
2. 문장구조의 형성
2.1. 홑문장의 형성
2.2. 겹문장의 형성
3. 마무리
제3장 시제법의 형성
1. 머리말
2. 시제법의 형성
2.1. 끗기의 시제형성
2.2. 잇기의 시제형성
3. 마무리
제4장 높임법의 형성
1. 머리말
2. 높임법의 형성
2.1. 임기의 높임형성
2.2. 억기의 높임형성
2.3. 잇기의 높임형성
2.4. 끗기의 높임형성
2.5. 높임의 등분형성
3. 마무리
제5장 조어법의 형성
1. 머리말
2. 조어법의 형성
2.1. 파생법의 형성
2.2. 합성법의 형성
3. 마무리
제6장 주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1. 머리말
2. 주시경 학문 자료의 보급
2.1. 역대한국문법대계(1975~1986)
2.2. 주시경전집(상, 하)(1976)
2.3. 주시경전서(6권)(1992)
3. 주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3.1. 전체적인 연구
3.2. 부분적인 연구
4. 주시경 학문 연구에 대한 학회의 노력
4.1. 한글학회(한힌샘 연구 모임)의 활동
4.2. 주시경 연구소의 활동
4.3. 외솔회의 활동
5.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