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1장 클로드 샤를 달레Claude Charles Dallet—19세기 한국의 가창 문화를 증언하다
클로드 샤를 달레의 한국 가창 문화 고찰

2장 에른스트 J. 오페르트&윌리엄 E. 그리피스Ernst Jacob Oppert&William Elliot Griffis

—한국문학과 가무의 수준을 평가하다&한국시가의 층위와 특징을 요약하다
1880년대 서구인들의 한국시가 논의

3장 모리스 쿠랑Maurice Courant—한국시가의 서지와 갈래를 논의하다
모리스 쿠랑의 한국시가관

4장 제임스 S. 게일James Scarth Gale—한국문학과 시가의 동아시아적 전통에 주목하다
한국시가에 대한 제임스 게일의 고찰과 인식

5장 호머 B.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한국시가의 고유성과 보편성을 부각하다
호머 헐버트의 한국시가 연구 / 호머 헐버트의 <아리랑>론

6장 애나 T. 스미스Anna Tolman Smith—한국시가의 ‘모성적 율동’을 포착하다
19세기 말 󰡔미국민속학보󰡕에 소개된 한국시가의 특징-애나 스미스의 한국 자장가 고찰

7장 엘리 B. 랜디스Eli Barr Landis—한국의 동요를 정교하게 채록하고 해제하다
엘리 랜디스의 한국민속 연구와 동요 채록

8장 프레더릭 S. 밀러Frederick Scheibler Miller—한국시가의 양식과 율격을 탐구하다
프레더릭 밀러의 한국시가 양식론

부록/원문 입력 자료
참고문헌
초출일람
색인(인명/작품․문헌․저술명/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