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다시 보는 고소설사]를 펴내며

제1부 초기 소설사의 역동
소설사의 기점과 장르적 성격 논의의 성과와 과제 / 박일용
우언문학사와 초기소설의 관련 양상 / 윤주필
''초기소설사''에서의 역사와 허구의 관련 양상 / 조현우
[금오신화]의 창작 방식과 의도-<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 전성운


제2부 17-18세기 고소설과 생활사
17세기 동아시아 전란의 소설적 수용양상-<김영철전>에 그려진 부부애의 성격을 중심으로 / 권혁래
17세기 서사문학을 통해 본 ''성''의 문화 기호와 상상 구조 / 최기숙
17-18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화폐경제의 사회상 / 이민희
18세기 도시의 발달과 소설 향유의 면모 / 김준형
조선후기 여성의 어문생활과 고전소설 / 이지하
조선후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신불과 사암의 기능 / 김승호
고소설의 풍류와 풍속도의 관계 / 김진영

제3부 고소설과 근대성
매체와 서사의 연관성으로 본 19세기 대중소설 시장의 성격 / 주형예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간행 양상 / 엄태웅
신작 구소설의 근대성-<채봉감별곡><청년회심곡><부용상사곡>을 대상으로 / 이정원
[대한유학생회학보]에 게재한 한문산문 연구 / 조상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