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부 중국 배경 고전소설의 공간

17세기 가정소설의 공간 연구
-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 을 대상으로
1. 서론


2. 소설 공간의 의미와 분석 방법
3. 17세기 가정소설 공간의 기본 구도
4. ''집/ 집 밖'' 공간 구도의 성격과 기능
5. 17세기 가정소설 공간의 특징과 의의
6. 결론

''옥수기''에 형상화된 이국, 중국
1. 서론
2. ''옥수기''에 형상화된 중국
3. ''옥수기''에 형상화된 중국의 특징
4. 개별적 경험에 근거한 이국취향의 형상화
5. 결론

제2부 조선 배경 고전소설의 공간

고소설 속 관서-관북 지역의 형상화와 그 의미
1. 서론
2. 작품 속 관저 관북 지역의 분포와 빈도
3. 작품 속 관서 관북 지역의 형상화
4. 관서 관북 지역 형상화의 특징과 의미
5. 결론

''장화홍련전''의 서사 공간 연구
- 박인수본, 신암본, 자암본을 대상으로
1. 서론
2. ''장화홍련전'' 서사 공간의 전제
3. ''장화홍련전''의 서사 공간
4. ''장화홍련전'' 서사 공간의 의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