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하나 - 새뜻한 국어 수업, 풀이말이 논다
1. 월의 풀이말은 약방이 감초다
2. 주시경의 아홉 난 월 그림으로 얼이음 생각 틀 들여다 보기
3. 풀이말을 씨낱말로 삼은 짧은 월 짓기 일판
4. 풀이말을 금나가게 하는 어찌말 부림 짧은 월 짓기
5. 풀이씨 낱말밭으로 가르친다는 건 배운다는 것
6. 풀이말로 여는 국어 수업을 마치며



둘 - 삶품말, 풀이씨를 알면 우리말이 보인다
1. 삶품말은 왜 배우지
2. 삶품말로 가르친다는 건 배운다는 것


3. 한국어 수업, 삶품말로 열고 닫기



셋 - 신명 나는 국어 수업, 이야기 꽃이 핀다
1. 마주이야기꽃
2. 마주이야기의 생각 굴대
3. 월의 끝말을 바꾸면 이야기 맛이 달라지지
4. 입말을 가르친다는 건 배운다는 것
5. 풀이말 속뜻이 드러나는 입말이야기 속살
6. 이야기꽃을 피우고 나서



넷 - 갈책 배움 야기는 한국어 갈배움의 밑거름이다
1. 배움 이야기를 왜 쓰지?
2. 머리말을 바탕글 삼아 가르친다는 건 배운다는것
3. 얼이음 갈책 배움 이야기를 톺아보며



다섯 - 국어 갈배움은 얼이음 새얼로 연다
1. 왜 우리 새얼로 배워야 하지?
2. 얼이음 배우 미립을 가르친다는 건 배운다는 것
3. 우리말로 가르치고 배우는 일을 생각하며



여섯 - 국어의 길을 솟을물음에서 찾다
1. 물어보는 사람은 배운다
2. 물음놀로 가르친다는 건 배운다는 것
3. 갈배움 물음놀 이야기를 마치며



일곱 - 아이들은 믿나라말로 생각하고 꿈을 꾼다
1. 믿나라말 왜 써야 하지?
2. 우리말의 빛깔과 모습과 자취로 수꿈을 꾼다
3. 개운한 우리말로 여는 국어과 교육과정
4. 꼬리에 꼬리를 무는 한국어 낱말 불리기
5. 수꿈 꾸기를 가르친다는 건 배운다는 것
6. 우리말로 수꿈 꾸는 국어 갈배움을 마치며



여덟 - 국어과 교육과정 토박이말로 들여다본다
1. 2011 개정 교육과정과 토박이말 말밑 이야기
2. 국어과 교육과정 토박이말로 새긴다는 건 배운다는 것
3. 말셈힘을 기른다는 건 배운다는 것
4. 말셈힘을 기르는 갈배움을 마련하면서



아홉 - 들온 갈배움 일판을 믿나라말로 배운다
1. 믿나라말 끌어 쓰기와 새말 만들어 쓰기
2. 들온 갈배움 일판을 토박이말로 가르친다는 건 배운다는 것
3. 모름지기 우리말 갈말이 늘어나기를 바라며



열 - 한국어 울력배움은 모둠 띠앗을 선물한다
1. 얼이음 울력으로 배움 열기
2. 이 땅의 다물 울력꾼이 펴낸 울력배움
3. 울력을 가르친다는 건 배운다는 것
4. 울력 구실굿놀이 국어 갈배움을 마치며



도움 받은 책과 글
토박이말 갈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