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 보기
LDR00000nmm c2200205 c 4500
001000000025113
00520230412142925
008070703s2007 ulk d a kor
020 ▼a 9788970419497 ▼g 03380 : ▼c \23400
040 ▼a 311768 ▼c 311768 ▼d 311768
0490 ▼l EB016121
056 ▼a 380.911 ▼2 6
090 ▼a 380.911 ▼b 이어294우
24520 ▼a (이어령의 이미지+생각) 우리문화 박물지 ▼h [전자책] / ▼d 이어령 지음.
256 ▼a 전자 데이터
260 ▼a 서울: ▼b 디자인하우스: ▼b Designhouse, ▼c 2007: ▼f (교보문고 ▼g 2008).
300 ▼a 전자책 1책 : ▼b 천연색
50000 ▼a 이 책은 1995년 출간한 <한국인의 손, 한국인의 마음>의 개정 보급판임
516 ▼a PDF
520 ▼a 키워드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유전자이어령의 <우리문화 박물지>는 가위부터 화로까지 우리 옛 생활문화 속의 64개 물상들에 대한 흥미진진한 탐색기이다. 한국인의 마음의 신비를 꿰뚫어 보는, 한국인을 만든 문화유전자 64개에 대한 일종의 지도라고 할 수 있다.「가위 - 엿장수 가위의 작은 기적」「화로 - 불들의 납골당」등과 같은 식으로 해당 물건에 대해 시적 함축성을 지닌 제목을 붙이고, 짧은 분량의 텍스트 안에서 이야기를 풀어내었다. 이 책은 한국의 영상과 한국인의 생각의 별자리를 읽으려는 욕망, 그리고 그 읽기의 새로운 실험에서 탄생되었다. 일상 속에서 우리와 함께 생활해 온 물건들의 실용적인 의미를 넘어서, 그 물건들에 대한 이미지와 생각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우리 옛 생활문화 속의 여러 물상들을 시적 직관으로 살펴보며 미학적 탐험을 시도하였고, 이러한 사물의 시학을 통해 한국인의 마음을 해독하였다. 또한 이 책에는 이어령 글쓰기의 미덕과 장점이 오롯이 살아있기도 하다. 시와 산문의 경계에서 직관적 감성과 분석적 논리를 결합시킨 글을 바탕으로, 좀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옛것을 다시 읽는 독서의 기쁨과 자유, 문화의 암호문을 해독하는 지혜와 노력, 사물의 시학을 통해 한국인의 마음이나 그 영상의 차이를 찾으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책이다
530 ▼a 책자형태로 간행: ISBN 9788970419497
653 ▼a 한국문화 ▼a 생활문화 ▼a 문화 ▼a 박물지
7001 ▼a 이어령
740 0 ▼a 한국인의 손, 한국인의 마음
7760 ▼t (이어령의 이미지+생각) 우리문화 박물지, ▼z 9788970419497
85641 ▼u https://hangeul.bookcube.biz/FxLibrary/product/view/?num=F0000351&category=&category_type=
9500 ▼b \23400
991 ▼a 전자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