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 보기
LDR00000ngm c2200205 c 4500
001000000017036
00520220629151442
007vd cgairq
008171010q2017 ulk060 avlkor
040 ▼a 311768 ▼c 311768 ▼d 211062
0490 ▼l AV001399 ▼f DV
056 ▼a 309.111 ▼2 6
090 ▼a 309.111 ▼b 케68ㅇ ▼c v.[1]
24500 ▼a 아침마당 ▼h [비디오녹화자료]: ▼b 목요특강. ▼n [1], ▼p 우리 소리 좋을시고, 조통달 판소리 인간문화재 / ▼d KBS Media [편].
260 ▼a 서울: ▼b KBS Media, ▼c [2017]
300 ▼a 비디오디스크 1매(60분): ▼b 유성, 천연색; ▼c 12 cm
500 ▼a 방송일자: 2013.09.19
500 ▼a 임의권차를 부여함
5118 ▼a 출연: 조통달
520 ▼a 우리 것, 판소리는 서민들의 삶의 일부이자 우리 민족의 애한, 혼이 담겨 있다. 지루하다는 선입견을 버리면 가볍게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성까지 갖추고 있는 음악이다. 2003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판소리 인간문화재 조통달은 다섯 살에 소리의 길을 걷기 시작하여 온갖 대회의 상을 휩쓸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사실, 그는 태생부터 예술가의 피를 타고났다. 전라도에서 알아주던 전통 예술인이었던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 여류 명창이었던 박초선과 어머니이자 스승인 명창 박초월 선생까지. 조통달은 박초월의 밑에서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를 사사했다. 하지만 소리의 길은 고난의 연속이었다. 대구 앞산 동굴에서 백일공부를 하며 득음을 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수많은 좌절을 경험해야 했고, 변성기 때는 목소리를 잃어 자살기도를 하기까지 했다. 한평생 소리의 길을 걸으며 우리 것을 지켜나가는 인간문화재 조통달! 오는 추석, 신명나는 판소리 한 가닥과 함께 그의 소리 인생 이야기를 들어본다.
521 ▼a 전체 관람가
546 ▼a 사운드트랙: 한국어
653 ▼a 아침마당 ▼a 목요특강 ▼a 우리소리 ▼a 조통달 ▼a 판소리 ▼a 인간문화재 ▼a 교양프로그램 ▼a DVD
7001 ▼a 조통달
710 ▼a 케이비에스 미디어
74002 ▼a 우리 소리 좋을시고, 조통달 판소리 인간문화재
830 0 ▼a 아침마당
910 0 ▼a KBS 미디어.
910 0 ▼a 한국방송공사 미디어.
9500 ▼b \3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