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 보기
LDR00000ngm c2200205 k 4500
001000000007637
00520161220160948
007vd cgairq
008160810q2016 ulk044 avzkor
040 ▼a 311768 ▼c 311768 ▼d 311768
0490 ▼l AV0000000497 ▼v 2 ▼f DV
056 ▼a 911.05 ▼2 5
090 ▼a 911.05 ▼b 한16ㅎ ▼c v.2
110 ▼a 한국교육방송공사.
24510 ▼a 한양도성, 조선을 담다 ▼h [DVD 녹화자료]. ▼n 제2강, ▼p 한양, 모양을 갖추다 / ▼d EBS [편]
260 ▼a 서울: ▼b EBS, ▼c [2016]
300 ▼a DVD 1매(44분): ▼b 유성, 천연색; ▼c 12 cm
49010 ▼a (EBS) 역사특강.
500 ▼a 더빙: 한국어
500 ▼a 방영일: 2013.09.12
508 ▼a 제작진: 책임프로듀서, 김현주 ; 프로듀서, 권오민 ; 구성작가, 김명임, 김혜원 ; 카메라감독, 여운길, 송대갑, 정호균, 임영환 ; 종합편집, 박창욱 ; 연출, 임승준, 김혜정
5118 ▼a 강사: 홍순민
520 ▼a 한양의 주변에 위치한 산과 도성을 옛 지도를 통해서 찾아본다. 도성에는 사대문과 사소문, 그리고 이름 없는 암문들이 있어, 안팎을 통하는 통로 구실을 하였다. 사대문은 숭례문(남), 돈의문(서), 숙정문(북), 흥인문(동)이며, 사소문은 숭례문과 돈의문 사이의 소의문에서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대문을 건너뛰어서 창의문, 혜화문, 광희문이다. 운종가를 서대문을 향해 오다가 광화문으로 가는 오른편으로 길을 돌아가면 육조거리가 있었다. 이 길을 육조거리라고 하는 까닭은 이 길 좌우편으로 육조로 대표되는 국가의 중추 관서들이 늘어서 있었기 때문이다. 광화문에서 나오면서 보자면, 좌측 곧 동편으로 의정부, 이조, 한성부, 호조, 기로소가 줄지어 있었고, 우측 곧 서편으로 예조, 병조, 사헌부, 형조, 공조 등이 연이어 있었다. 피맛골은 조선시대 서민들이 종로를 지나는 고관들의 말을 피해 다니던 길이라는 뜻의 피마(避馬)에서 유래하였다. 서민들이 이용하다 보니 피맛골 주위에는 선술집·국밥집·색주가 등 술집과 음식점이 번창하였다. 경조오부는 동여도의 한양지역 부분을 뜻하며, 한양의 오부, 동·서·중·남·부의 5부를 나타낸 지도이다. 부근의 산맥과 하천의 흐름, 도로망, 주요 지명과 사물 등이 기록되어 있다.
521 ▼a [전체 관람가]
538 ▼a DVD 플레이어; DVD 롬 장착pc
650 4 ▼a 역사
653 ▼a 한양도성 ▼a 조선 ▼a 역사 ▼a 한국사 ▼a DVD
7001 ▼a 홍순민
740 2 ▼a 한양, 모양을 갖추다
830 0 ▼a EBS 역사특강
830 0 ▼a 이비에스 역사특강
910 0 ▼a EBS.
910 0 ▼a 이비에스.
910 0 ▼a EBS 교육방송.
9500 ▼b \29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