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이효인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사 및 영화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영화집단, 민족영화연구소에서 활동했으며 서울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 한국영상자료원 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독립영화 2세대의 영화미학론」(『영화연구』, 2018) 등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주요 저서로는 『한국영화역사강의 1』(이론과실천, 1992), 『한국근대영화의 기원』(박이정, 2017) 등 10여 권이 있다. 정종화 중앙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식 민지기 조선영화 및 한일 비교영화사이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에서 JSPS외국인 특별연구원으로 연구했다. 현재 한국영상자료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경희대학교와 중앙대학교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영화사-한 권으로 읽는 영화 100년』(한국영상자료원, 2007), 『韓?映?100年史―その誕生からグロ?バル展開まで』(아카시쇼텐明石書店, 2017) 등이 있고, 『일본어 잡지로 본 조선영화』 시리즈 5권 (한국영상자료원, 2010~2014)을 기획·편집했다. 저자 | 한성언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상언영화연구소 대표이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직후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영화사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식민과 분단 문제이며, 이와 관련하여 2018년 7월 《평양책방》이라는 북한도서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공저로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박이정, 2017), 『할리우드 프리즘』(소명출판, 2017)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해방공간의 영화·영화인』(이론과실천, 2013), 『조선영화의 탄생』(박이정, 2018)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