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정주리 국어학에 발을 내디딘 후 국어의 의미를 밝히는 데 관심을 가져 왔다. 특히 국어 동사와 구문의 관계, 언어와 사회의 관계, 인간의 정신과 언어 코드의 비밀스런 공모 관계를 밝히는 일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반인을 위한 한국어 이야기 시리즈를 엮는 데 힘쓰고 있다. <생각하는 국어>(1994), <우리말의 수수께끼>(2002), <한국어가 사라진다면>(2003), <동사, 구문 그리고 의미>(2004), <구문문법>(2004), <역사가 새겨진 우리말 이야기>(2006) 등의 저서를 냈다. 현재 동서울대학 교양학부 교수로 있다. 시정곤 말글 속에 숨어 있는 무한한 힘과 놀라운 질서의 세계에 매료되어 그 비밀을 찾는 언어 탐정으로서 우리말과 우리글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 왔다. 대중과 호흡하는 말글살이 연구를 지향한다. <국어의 단어형성 원리>(1994), <논항구조란 무엇인가>(2000), <우리말의 수수께끼>(2002), <한국어가 사라진다면>(2003), <역사가 새겨진 우리말 이야기>(2006), <현대국어 형태론의 탐구>(2006),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2008) 등의 저서를 냈다. 현재 카이스트(KAIST) 인문사회과학과문화기술대학원 교수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