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보
근대 국학자, 민족사학자, 독립운동가, 시조시인, 언론인, 정치인. 본관은 동래, 호는 담원(?園), 위당(爲堂).1893년 서울 출생. 한학 수학 후 1910년 조선 강화학파의 거두 난곡(蘭谷) 이건방(李建芳)의 제자가 되었다. 1910~1914년 중국 안동, 봉천, 서간도, 상해 등을 수시로 다니며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김규식, 문일평, 홍명희 등과 교유. 독립운동 비밀결사조직인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하였다. 1920년대 연희전문 교수와 동아일보, 시대일보 논설위원으로 활발한 저술활동 벌였다. 1930년대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역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우리고대사 왜곡과 말살에 분노, 1935년~1936년 동아일보에 <오천년간 조선의 얼> 제목으로 우리역사를 집필, 연재하였다. 위당은 고조선의 전역사를 우리민족사로 체계화하였으며, 단재(신채호)사학을 계승, 발전시켰다. 해방 후 국학대학 초대학장, 대한민국 초대감찰위원장을 지냈다. 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제헌절 등 주요 국경절의 노래말을 지어주신 분이다. 1950년 6.25동란으로 납북.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저서: 《조선고서해제》(1931), 《양명학연론》(1933), 《조선사연구상하권》(1946-1947), 《담원시조집》(1948), 《담원국학산고》(1955), 《담원문록》(1967), 《담원정인보전집》(1983), 《담원문록(번역본)》(2006).
문성재
1965년생. 1988년 고려대 중문과 졸업 후 1997년 중국 남경대에서《심경 극작 연구》로, 2002년 서울대에서 《원간잡극 30종 동결구조연구》로 각각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ㆍ역서로는 《중국고전희곡 10선》, 《동아시아 기층문화에 나타난 죽음과 삶》,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한국의 책 100 《고우영 일지매》(중문, 1-4),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도화선》,《진시황은 몽골어를 하는 여진족이었다》, 지만지판 《간전노》, 《회란기》, 《경본 통속소설》, 《한국의 전통연희》(중문), 《정역 노자》(근간) 등이 있으며 케이블 T채널에서 제작한 《북방대기행》(5부작)에 학술자문으로 출연하였다. 논문으로는 〈현대중국의 연극무대〉, 〈중국의 종교극 목련희〉, 〈명대 희곡의 출판과 유통〉, 〈안중근 열사를 제재로 한 중국연극 ‘망국한 전기’〉, 〈원대 잡극 곡백에서의 ‘래’〉,〈원대 잡극 속의 몽골어〉, 〈원대 잡극에서의 정도부사 ‘쇄’ 용법〉,〈근대중국어의 ‘S''O''(야)사’ 비교구문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