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채봉 - 1946년 전남 승주의 작은 바닷가 마을에서 태어났다. 수평선 위를 나는 새, 바다, 학교, 나무, 꽃 등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배경이 바로 그의 고향이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동화 부문에 <꽃다발>로 당선의 영예를 안고 등단했다. 그 후 대한민국문학상(1983), 새싹문화상(1986), 한국 불교 아동문학상(1989),동국문학상(1991), 세종아동문학상(1992), 소천아동문학상(2000)을 수상했다. 깊은 울림이 있는 문체로 어른들의 심금을 울리는 ‘성인 동화’라는 새로운 문학 용어를 만들어 냈으며 한국 동화 작가로서는 처음으로 동화집 《물에서 나온 새》가 독일에서, 《오세암》은 프랑스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마해송, 이원수로 이어지는 아동 문학의 전통을 잇는 인물로 평가받으며 모교인 동국대, 문학아카데미, 조선일보 신춘문예 심사 등을 통해 숱한 후학을 길러 온 교육자이기도 했다. 동화 작가, 방송 프로그램 진행자, 동국대 국문과 겸임 교수로 열정적인 활동을 하던 1998년 말에 간암이 발병했다. 죽음의 길에 섰던 그는 투병 중에도 손에서 글을 놓지 않았으며 그가 겪은 고통, 삶에 대한 의지, 자기 성찰을 담은 에세이집 《눈을 감고 보는 길》을 펴냈고, 환경 문제를 다룬 동화집 《푸른 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첫 시집 《너는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를 펴내며 마지막 문학혼을 불살랐다. 평생 소년의 마음을 잃지 않고 맑게 살았던 정채봉은 사람과 사물을 응시하는 따뜻한 시선과 생명을 대하는 겸손함을 글로 남긴 채 2001년 1월, 동화처럼 눈 내리는 날 짧은 생을 마감했다.
정호승 - 1950년 하동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자랐다. 경희대 국문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시, 198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당선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슬픔이 기쁨에게》,《서울의 예수》,《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외로우니까 사람이다》,《밥값》,《여행》, 산문집 《내 인생에 힘이 되어준 한마디》,《내 인생에 용기가 되어준 한마디》, 어른을 위한 동화집 《항아리》,《울지 말고 꽃을 보라》, 엮은 책으로 《마더 테레사 넘치는 사랑》 등이 있다.
소월시문학상, 정지용문학상, 편운문학상, 가톨릭문학상, 상화시인상, 공초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채인선 - 채인선은 1962년 강원도 함백에서 태어났다.
1995년 <우리 집 안경 곰 아저씨>로 샘터사가 주관하는 ‘엄마가 쓴 동화상’에 당선되었고, 이듬해에는 <전봇대 아저씨>로 ‘창작과비평사’가 주관하는 ‘제1회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우리 모두 다른 사람이 되었어요>나 <우리 방이 동물원이 되었어요>와 같은 작품들을 통해 현실적인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초월하여 변신함으로써 신나는 놀이로 빠져드는 환상의 세계를 보여 주었다. 그림책만도 열 종이 넘고 동화책, 교양물, 글쓰기 실용서, 국어사전 등 각양각색의 책들을 펴냈다.
《내 짝꿍 최영대》와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는 10년이 훌쩍 넘은 지금까지도 독자들이 꾸준히 찾는 작품들이다.
《아름다운 가치 사전》과 《나는 나의 주인》은 아이들이 이 책을 읽고 자기 자신의 멋진 주인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썼다고 한다.
채인선이 가장 공들여 만든 책은 《나의 첫 국어사전》이다. 《나의 첫 국어사전》은 우리나라 아이들이 가장 처음 보는 국어사전이다. 책 읽기가 시작되는 때(대체로 4세)부터 국어사전이 있어야 한다는 게 채인선의 주장이다. 왼쪽에 책, 오른쪽에 사전! 이것이 작가의 모토다.
저서 :《삼촌과 함께 자전거 여행》, 《밤한톨두톨》, 《아주아주작은손님》, 《엄마심부름》, 《산타할아버지가 우리 집에 못오신 일곱가지 이유》, 《동화로 읽는 명화이야기》, 《아름다운 가치사전》, 《딸은 좋다》, 《화야 그만 화풀어》, 《외로움아 같이놀자》, 《기쁨아 어서와》, 《슬픔아 안녕》, 《아기오리 열두마리는 너무 많아》, 《365 글쓰기 다이어리》, 《나의 첫 국어사전》, 《산골집에 도깨비가 와글와글》, 《시카고에 간 김파리》, 《내 짝꿍 최영대》, 《괜찮아 네가 있으니까》, 《아름다운 감정학교》, 《악어 우리나의 버스놀이》, 《아빠 고르기》, 《원숭이 오누이》, 《삼촌과 함께 자전거여행》, 《김밥은 왜 김밥이 되었을까》, 《오늘은 우리 집 김장하는 날》, 《나는 나의 주인》, 《노래기야, 춤춰라!》, 《가족의 가족을 뭐라고 부르지》, 《오빠는 사춘기》, 《엄마 아빠는 우리를 사랑해요》, 《전봇대 아저씨》, 《서로 도우며 살아요》,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다문화 백과사전》, 《더 놀고 싶은데》, 《산골집에 도깨비가 와글와글》, 《효재 이모와 전통 놀이 해요》등
조한순 - 1953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나, 1987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되었다. 지은 책으로 <뚱뚱이 안경>, <소문이 열리는 나무>, <푸른 비밀> 등이 있다. 현재 한국문인협회, 한국아동문학인협회 회원이다.
임정자 - 경기도 포천에서 태어났습니다. 첫 동화집 《어두운 계단에서 도깨비가》를 시작으로 동화와 옛이야기, 그림책 등 다양한 이야기로 어린이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그동안 《무지무지 힘이 세고 대단히 똑똑하고 아주아주 용감한 당글공주》《흰산 도로랑》《금방울전》《농사와 사랑의 여신 자청비》들을 썼습니다.
황선미 - 1963년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났다. 1995년 단편 <구슬아, 구슬아>로 아동문학평론 신인문학상을, 중편 <마음에 심는 꽃>으로 농민문학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1997년에는 제1회 탐라문학상 동화 부문을 수상했고, <나쁜 어린이표>,<마당을 나온 암탉>,<까치우는 아침>,<내 푸른 자전거>,<여름 나무>,<앵초의 노란 집>,<샘마을 몽당깨비>,<목걸이 열쇠>,<소리 없는 아이들>, <주문에 걸린 마을>. <뒤뜰에 골칫거리가 산다> 등을 썼다.
대표작 <마당을 나온 암탉>은 알을 품어 병아리를 만들어 보겠다는 소망을 갖고 살던 암탉 잎싹의 이야기다. 양계장에서 편하게 사는 것을 포기하고 안전한 마당을 나온 잎싹은 우연히 청둥오리의 알을 품게 되는데, 그렇게 부화한 청둥오리를 사랑과 정성으로 키우고 자신의 목숨을 족제비에게 내주기까지 한다. 고통스럽지만 자신의 꿈과 자유, 그리고 사랑을 실현해나가는 삶을 아름다운 동화로 그려냈다. 가난했던 어린 시절 학교에서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혼자 캄캄해질 때까지 학교에 남아 동화책을 읽곤 했던 그녀의 글은, 발랄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글을 써나가는 다른 90년대 여성작가들 달리 깊은 주제 의식을 담고 있다. <마당을 나온 암탉>은 그 대표적 예. 근대 · 문명을 상징하는 ''마당''과 탈근대 · 자연을 상징하는 저수지를 배경으로, 암탉 잎싹의 자유를 향한 의지와 아름다운 모성애를 감동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장문식 - 1948년 전라남도 화순읍에서 태어났다. 1970년 2월 광주교육대학을 졸업하고 보성군 시골 학교에 발령받았다. 1973년 중등학교 준교사 자격 고시검정(국어과)에 합격하고, 1976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원교육원에서 국어교육과 사범대학 과정을 수료했다. 1978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국어교육 전공으로 교육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광주예술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광주여자고등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광주고등학교 등에서 40여 년간 중등교사로서 학생들에게 국어와 국문학을 가르쳤고, 정년퇴임하면서 대한민국 황조근정훈장을 받았다.
1976년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형제>가, 이어서 198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신기료 할아버지>가 당선되었다.
펴낸 책으로 ≪도둑 마을≫, ≪신기료 할아버지≫, ≪가슴마다 뜨는 별≫, ≪출렁이는 물그림자≫, ≪누나와 징검다리≫, ≪대동여지도를 만든 조선시대의 지리학자 김정호≫외 다수가 있다. 전남아동문학가상, 한국아동문학상, 세종아동문학상 등을 받았다.
현덕 - 1909년 서울에서 태어난 현덕 선생님은 제일고등보통학교를 중퇴했습니다. 193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고무신>이 가작으로 뽑혔고, 193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남생이>가 당선되었습니다. 해방 뒤, 일제 시대에 발표했던 작품들을 묶어서 동화집 <포도와 구슬>, <토끼 삼형제>, 소년 소설집 <집을 나간 소년>, 소설집 <남생이>를 펴냈습니다.
조미자 -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현재 강원도 춘천에서 그림책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린 책으로는 《우리 마당으로 놀러 와》, 《주문에 걸린 마을》, 《고양이에게 말 걸기》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는 《어느 공원의 하루》, 《기역은 곰》, 《엄마가 그린 새 그림》, 《거미가 줄을 타고 올라갑니다》, 《노란 잠수함을 타고》, 《야채가 좋아》, 《바람이 살랑》, 《꽃이 좋아》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