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책머리에 통신사를 통한 한ㆍ일 문학 교류의 전개 양상 -『천초문고서목해제』소재 필담창화집을 자료로 하여 17세기 필담창화의 성립과 일본인의조선 인식 권칙 찬『시인요고집』의 일본 전래와 간행의 의미 17세기 통신사 필담창화집의 출현과 초기 형태 1682년 한일 문사 교류 담당층의 확립과 소통의 확대 18세기 초 조일문사의 신분적 특성에 따른 필담교류의 분화양상에 대하여 1711년 신묘통신사와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필담을 통한 상호 소통 18세기 필담창화집의 양상과 교류 담당층의 변화 필담을 통한 한일 문사 교류의 전개 양상 -아카마카세키[赤間關]를 중심으로 1769년 필담자료를 통해 본 에도에서의 문사 교류 -『경개집(傾蓋集)』서문에 보이는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