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고대 : 인문학의 여명 = 35 1. 언어학 : 문법의 탄생 = 35 2. 역사기록학 : 자료 문제, 그리고 과거의 형식 = 48 3. 문헌학 : 원문복원의 문제 = 65 4. 음악학 : 화성과 선율의 법칙 = 74 5. 미술이론 : 세계의 시각적 복제 = 87 6. 논리학 : 추론의 규칙 = 99 7. 수사학 : 학문영역으로서의 웅변술 = 109 8. 시학 : 문학과 연극의 연구 = 121 결론 : 고대 인문학의 공통 양식 = 131
제3장 중세 : 보편적인 것과 특별한 것 = 137 1. 언어학 : 규칙에서 사례로 = 138 2. 역사기록학 : 보편사, 그리고 형식전달 이론 = 153 3. 문헌학 : 필사가, 백과전서파와 번역가들 = 186 4. 음악학 : 음악적 실행의 형식화 = 195 5. 미술이론 : 규칙 따르기와 깨기 = 210 6. 논리학 : 진정한 삼단논법의 법칙 = 221 7. 수사학과 시학 : 여러 가지 규칙 모음 = 232 결론 : 중세 인문학의 혁신 = 246
제4장 근세 : 인문학의 통합 = 251 1. 문헌학 : 근세 학문의 여왕 = 252 2. 역사기록학 : 문헌학의 확산과 세계관의 세속화 = 282 3. 언어학과 논리학 : 인문주의의 굴레 아래에서 = 321 4. 음악학 : 인문주의와 자연과학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 = 345 5. 미술이론 : 보이는 세계 재현의 전환점 = 366 6. 수사학 : 모든 것(또는 무(無))의 과학? = 394 7. 시학 : 곤경에 빠진 고전주의 = 401 결론 : 근세 인문학에 진보가 있었나? = 413
제5장 근현대 : 새로워진 인문학 = 431 1. 역사기록학 : 세계의 역사화 = 432 2. 문헌학 : 완성된 학문영역인가? = 466 3. 언어학과 논리학 : 언어와 의미의 법칙 = 480 4. 음악학 : 체계 대 역사 = 514 5. 미술사와 고고학 : 시각 문헌학을 향하여 = 529 6. 문학과 연극 연구 : 기이하게 사라진 수사학과 시학 = 553 7. 모든 매체와 문화에 대한 연구 : 영화학부터 뉴미디어까지 = 573 결론 : 근현대 인문학에 단절이 있는가? = 584
제6장 결론 : 인문학에서 얻은 통찰이 세상을 바꾸었다 = 595
부록 A : 연구 방법에 관한 주석 = 613 부록 B : 중국 수요 시대 = 616 찾아보기 = 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