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호학계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기호학자 김성도 교수의 신간이 나왔다. 현재 세계기호학회 집행 위원이자 세계 최고의 기호학 학술지인 <세미오티카>지의 편집위원인 저자의 지난 8년간의 연구 성과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이 책의 학술적 의의는 상당하다.
저자가 서문에서도 밝혔듯이 ‘도시 이해의 기호학적 접근’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저자 특유의 지적 여정으로 독자를 이끌며 ‘서구 도시 사상사’라는 방대한 바다로 나아간다. 무엇보다 이 책은 도시 공간의 기호학적 연구의 종합적 시야를 제시한 최초의 인문학적 시도라는 점에서 학계의 호평을 받고 있다.
‘도시’를 사유하며 ‘도시’의 의미를 발견하고 재발견해온 서구 인문학 석학들의 방대한 지적 여정을 추적한다. 저자는 그레마스의 위상 기호학, 에코의 건축 기호학을 비롯해, 미국 시카고학파와 벤야민과 세르토 등 거의 모든 도시 이론을 주파하며 방대한 근현대 도시 사상의 계보를 수립해나간다. 특히 국내 도시 연구자들에게 극히 부분적으로 알려진 미국 도시 건축 이론가 린치를 비롯해 이탈리아 건축 사상가 로시, 노베르크슐츠의 도시, 건축 사상을 하나의 궤적으로 이어준 저자의 통찰력이 돋보인다.